올해도 어김없이 영농철은 돌아오고 그에 맞춰 일손을 구하지 못한 농업인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농촌의 인력난 문제는 새삼스럽지도 않고, 어제 오늘일도 아니다. 아주 고질적인 농촌의 문제 가운데 하나다.

최근들어 귀농, 귀촌인구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그동안 계속된 이농ㆍ탈농 현상과 고령화 가속화로 상황은 안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특히 올 해는 4월 11일 펼쳐지는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로 그나마 있는 인력마저 그곳에 동원되는 등 일손구하기는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만큼이나 어렵다.

농업인들은 제때 심고, 제때 생산하지 못하면 한 해 농사를 망치게 된다. 물론 지자체나 농업기관에서는 부족한 일손을 메우기 위해 인근 군부대 병력과 공무원들, 학생들까지 동원하면서 보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만으로는 필요 인력을 다 채우기는 역부족이다.

그리고 부쩍 올라버린 인건비까지 농업인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인력이 고령으로 생산능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인건비마저 오르니 농업인들로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 게다가 한 마을 사람들이라 자칫하다간 인심까지 잃을 수 있다는 걱정이 앞선다. 그래서 주말이면 아들, 딸, 사위, 며느리, 손자 할 것 없이 온 가족을 총동원시키는 농가도 흔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외국인 노동자들을 농촌에서 고용하는 것은 어떨까. 하지만 이 또한 녹녹치 않은 상황이다. 일부 농업인들은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했지만 의사소통이 어렵고, 일을 가르쳐야 하는 넘어야 할 산들이 많다. 또 농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떠나는 외국인 노동자들도 부지기수고, 농촌상황을 파악한 외국인 노동자들 중에는 내가 없으면 어떻게 되냐는 식으로 상전 노릇을 하려고 드는 이들도 있다고 한다.

농업인들은 외국인 노동자 숫자라도 늘려달라고 촉구하지만 정부에서는 농업분야 외국인 근로자 숫자를 그다지 늘려주지 않아서 농촌이 너무 힘든 지경이다. 올해 외국인 근로자 전체 도입 쿼터는 5만7000명으로 이 가운데 농축산업에 배정된 인력은 상반기 2700명을 포함해 4500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셈이다.
현실적으로 다른 대안이 없다면 농촌에 배정된 외국인 쿼터라도 적절히 늘려 농촌의 인력 수요를 웬만큼 충족시켜 줘야 한다.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농업인들은 농촌이 처한 현실은 숱하게 부르짖었다.
아스팔트농사부터 시작해 해가 갈수록 날씨는 이변을 연출하고 있고, 농자재값은 폭등을 하고 있다. 또 가축들은 이름모를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고 있다. 이처럼 농업인들의 마음을 짓누르는 어려움은 헤아리기조차 어렵다. 겨울이면 난방비를 감당하지 못해 비닐하우스 농사를 포기하는 농가도 속출하고 있고,  수입 농산물과의 경쟁도 버거운데 일손마저 없는 상황이다.

정부에서는 지금 농촌의 상황을 인식하고 한 사람의 일손이라도 보탰으면 한다. 그래야만 농업인들이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고 좋은 농산물을 국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우리의 정신적 고향인 농촌을 지키는 동시에 곧 나라를 지키는 일이다.
다시 한번 정부도 일손 부족 해소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외국인 노동자 쿼터를 적절히 늘려 가는 것부터 도시의 잉여 인력자원을 농촌과 연계시켜 충원 할 방안이 필요한 시기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