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일가사노동 대부분, 여성농업인의 몫


과중한 노동 부담 경감, 복지시설제도 확대 시급

교통의료시설 등 생활 인프라 부족해 농촌생활 어려워



여성농업인 대부분이 농사일의 절반이상을 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 가사노동까지 떠안고 있어 여성농업인의 과중한 노동 부담 경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여성농어업인육성법에 따라 5년마다 실시하는 ‘2013년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15세 이상의 여성농업인 3,031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간 조사원이 해당 농가를 방문해 개별 면접을 통해 조사했다. 또한 고령 여성농업인과 농촌 다문화여성의 자세한 현황 파악을 위해 일반농(65세 미만), 고령농(65세 이상), 다문화 여성 등 세 가지 유형으로 조사표를 구분해 시행했다.

◆ 농사일 대부분 담당…경영주 인식은 글쎄

이번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여성농업인의 80.7%가 결혼하면서 농업에 종사했고, 평균 영농경력은 32.8년이다. 여성농업인이 농사일 50% 이상 담당하는 비중이 66.2%, 가사노동의 75% 이상을 담당하는 비중은 82.8%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농업인의 42%만이 본인을 공동경영주 또는 경영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농업인 대부분(96.1%)이 농업소득을 별도로 배분하지 않고 있으며, 관리는 남편과 공동관리(45.5%), 본인관리(31.4%), 남편관리(17.7%) 순이었다.
농업생산 외 활동의 참여율은 38.7%이며, 추가소득 마련이나 생활비 부족 등 경제적인 이유(39.8%)로 농외소득 활동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업을 지속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일반 여성농업인(65세 미만)은 ‘농업을 계속해야 하는 환경’을, 고령 여성농업인(65세 이상)은 ‘땅을 놀릴 수 없다’는 것을 가장 큰 이유로 지적했다. 일한 만큼 성과가 있다는 긍정적인 이유는 15.7%에 불과했다.
농촌에 계속 거주할 의향이 있는 여성농업인은 92.9%로 ‘쾌적한 자연환경으로 건강에 좋다’, ‘도시생활보다 여유가 있다’는 순으로 나타났다.

◆과중한 노동, 경제사회적 활동에 장애

농촌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은 교통, 의료시설 등 생활 인프라 부족 등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또한 농업에 종사하면서의 어려움은 ‘농업노동이 힘들다’, ‘소득이 적다’는 항목의 비중이 높았다.
농업활동과 농촌생활의 어려움 속에서 여성농업인을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과중한 노동 부담 경감(31.3%’이 1순위로 꼽혔으며, 복지시설제도 확대(28.7%), 경제사회적 지위 향상(19.6%), 보육교육시설 확대(11.1%)가 뒤를 이었다. 여성농업인에게 경제사회적 활동의 장애가 되고 있는 과중한 노동은 오늘날까지 여전히 가장 큰 과제로 나타났다.

◆결혼이민 여성, 농사일 담당비중 적어

결혼이민 여성농업인 중 결혼 전 농사 경험이 있는 비율이 60%이고, 경작기간은 5개월 이상이 66.1%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여성 농업인의 34.2%는 농외 소득활동에 3개월 이상 종사하고 있었으며 농사일을 50% 이상 담당하는 비중은 17.0%로 일반 여성농업인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농업생산 외 소득활동에 27.8%가 참여하고 있으며, 근무 유형은 시간제 근무 비중이 16.6%로 가장 높았다.

향후 농촌 거주 의향은 61.1%이고, 계속 거주 이유는 ‘농촌은 생활비가 적게 들고(23.2%), ’자연환경이 쾌적하여 건강에 좋다(20.4%)‘ 순이었다.
농업농촌에서 여성으로서의 고충은 ‘가사와 농사일을 동시에 하는 것이 어렵다(48.7%)’와 ‘농사일에 체력이 부족해 어렵다(25.6%)’ 순으로 조사됐다.

◆직업적 지위권리 향상 위한 제도 개선 추진

이번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결과는 제4차 여성농업인 육성 기본계획(2016~2020년) 수립 등 여성농업인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농식품부는 제3차 여성농업인 육성 기본계획(2011~2015년)을 기초로 이번 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결과 등을 반영, 2014년 여성농업인 육성 시행계획을 수립해 발표했다. 2014년 시행계획에 따르면 △직업적 지위와 권리향상 △전문 농업경영역량 강화 △지역개발 리더 및 후계인력 육성 △여성농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추진 인프라 강화 등의 5대 전략 분야에 대해 신규과제 9개를 포함해 총 48개의 과제가 올해 추진될 예정이다.

농업경영체 등록제 참여와 국민연금 가입 확대를 위한 정책을 지속하고, 농지연금 수급조건 완화 및 농기계 임대 시 여성농업인 우선 지원 등의 제도 개선을 추진하여, 여성농업인의 직업적 지위와 권리 향상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여성농업인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해 여성농업인의 교육 참여 확대를 지속 추진하고, 특히 올해는 여성농업인의 차별적 교육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여성 특화교육 과정을 개발하여 시범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6차 산업화와 연계해 여성농업인의 2·3차 산업 진출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보육 및 노동부담 경감 등 여성농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영농가사도우미 지원을 확대하고, 공동생활 홈 등 고령자 공동이용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농촌 보육시설 설치운영 관련 규제 완화 및 농번기 주말 돌봄방 지원 시범사업 등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에 발표한 시행계획이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점검을 강화할 것”이라며 “정책 인지도 향상을 위해 여성농업인 대상 홍보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