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가 전국민을 우울감과 죄의식에 빠뜨렸다. 모든 국민이 병원 상담을 받고 치료를 해야 할 지경이다. 급기야 이번 참사 때문에 자살기도자가 급증했다는 언론보도까지 나온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우리 정부가 얼마나 안전에 무감각하게 대처해 왔는지 알 수 있으니 이제라도 획기적인 안전대책과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정치인도 나타났다. 하지만 이번 세월호 참사에 버금가는 대형 사고가 터질 때마다 나온, 어쩌면 식상해진 문제인식으로 치부되고 얼마후엔 또다시 안전에 무감각해질 것이라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달 29일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통해 세월호 참사 수습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사과의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모든 국가적 재난을 총괄할 수 있는 ‘국가안전처’ 신설을 지시했다. 곧이어 국민들은 비난의 화살을 쏘아댔다. 국가안전처를 신설하면, 그리고 국가안전처가 재난을 예방하고 국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느냐는 비판에서다. 이런 일이 터지면 언제나 이런 기관이 새로 생기고 무수한 말잔치에 인사잔치가 벌어질 뿐이었고 실속있는 조치들은 거의 없었다는 기억도 되짚었다. 정부가 집권초기 그토록 공들였던 ‘안전행정부’는 그동안 무엇을 했기에 지금의 지경에 이르렀냐는 비아냥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국가안전처가 신설되던지 말던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모든 불안전 상황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매뉴얼을 빠른 시일내에 마련해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눈에 띈다. 이런 말도 이미 과거부터 수없이 나왔던 것이니 식상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의 문제인식과 각오라면 충분히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전국민이 관심을 갖고 바라볼 것이니 시간도 단축되리라 기대도 된다. 그렇게 되려면 관심을 표현해야 한다.

정부가 혹여 놓칠 수 있는 세세한 부분까지 문제를 제기하고 대책을 촉구하는 실제 행동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말이다. 언제나 그렇게 해왔지만 변하지 않았다고 포기할 것이 아니라 지금처럼 분노하고, 문제의 원인을 찾고, 정부의 행동을 요구하는 자세를 유지해야 가능한 것이다. 우리 농업계도 다르지 않다. 수많은 재해위험에서 안전한 농업·농촌·농업인을 위한 현실 고민과 함께 대책을 촉구할 절호의 기회로 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