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사회는 복지제도가 화두가 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사회가 진전되면서 복지에 대한 욕구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우리 사회의 고령화 추세를 고려  한다면 복지는 우리의 삶에서 갈수록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복지에 대한 욕구는 부가 증가할수록 더욱 커지게 마련이다. 선진국으로 발전할수록 사회복지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복지에 대한 욕구도 많아진다. 복지는 노인·여성·아동·장애인 등 스스로 삶을 영위하기에 어려움에 처해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행복한 삶 을 누릴 수 있도록 정부가 보호하고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경제협력기구 (OECD)기준 보건의료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9명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이는 OECD 평균의 2.4배로 2000년 이후 지금까지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처럼 자살률이 높은 것은 급격한 사회변화와 과도한 경쟁이 낳은 우리사회의 모순으로 사회가 개인을 보살피는 공동체의 기능을 떨어졌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우리사회는 아무리 열심히 일을 해도 생활고에 시달리는 복지의 사각지대가 많다. 이에 따라 정부는 최근 지속가능한 사회보장을 위한 기본기획을 마련하여 지난 5일 국무회의를 통해 심의 의결했다. 이번 기본기획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 211개 사회보장 사업에 316조원을 투자 우리사회의 중장기 밑그림을 그려 나가겠다는 것이다.

주요 과제를 묶어보면 생애주기별 맞춤형 사회안전망 구축과 일시보육서비스 및 시간제 보육 기반도입,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새아기 장려금 제도도입,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 등이 추진된다. 하지만 정부가 이번 사회보장에 관한 마스터플랜이 빈곤한 독거노인이나 취약계층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빠져있다. 현실에 적합하고 진정한 복지를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복지 인프라가 필요하다. 복지정책이 정치적 인기에 영합하거나 여론에 휩쓸려 순간을 모면하기 위한 정책이 되어서는 안 된다. 복지정책은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고 복지가 더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지금 농어촌에는 사회, 문화, 복지, 의료 등 많은 분야가 매우 취약하다. 농어촌 독거노인이나 취약계층 노인들을 위한 차별화되고 특화된 복지 정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