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삼월이면 협동조합 태동이후 처음으로 전국 지역농협과 축협의 조합장 선거가 한 날 동시에 이뤄진다. 지역농협 1천여 곳, 축협 140여 곳에서 조합장을 뽑는 선거이니 유권자인 전국 조합원의 규모만 따져도 웬만한 지방선거에 버금할 ‘대형 선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협동조합이 농촌사회에서 지닌 위상을 고려하면, 조합장 전국동시선거 결과는 지역 농업과 경제는 물론 농가경제에도 적잖은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농협과 축협은 농업인 조직화와 농가소득 제고 등 농업경제의 핵심고리이자 지역농업의 전후방산업을 사실상 도맡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농협은 농정당국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역농정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농촌사회를 들썩이게 할 조합장 동시선거는 지역농정의 흐름을 바꾸거나 지역농업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간의 관심이 크다. 이미 적잖은 이들이 조합장 선거출마를 예정하고 있으며, 추석을 쇠고 가을수확이 마무리 되는대로 농촌사회에는 ‘선거 바람’이 거세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편으로는 선거판이 커지면서 후보 난립과 과열, 혼탁 선거를 우려하는 목소리마저 나오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등 일부 농업인단체는 조합장 선거의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탁금제도’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본지 설문조사에 따르면 농업인 대부분은 내년 3월 11일에 전국 모든 지역농협, 축협의 조합장 선거가 한 날 이뤄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조합장 선거 시 출마자들이 기탁금을 내지 않는다는 사실은 응답자의 35퍼센트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공직선거에 기탁금제도가 있는 만큼 조합장 선거에도 으레 기탁금이 있을 것으로 여긴 것이다. 내년 조합장 선거에서의 기탁금제도 도입여부를 묻자 넷 중 셋 꼴로 필요성에 동감을 표했고 응답자의 14퍼센트 정도만 공감하지 않았다. 기탁금액 문항에서는 2천만 원 이상이 36퍼센트로 가장 많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모든 선거는 공정하고 투명하게 이뤄져야 한다. 아울러 선거를 통해 뽑힌 대표는 해당 사회, 해당 조직과 구성원을 위해 복무해야 마땅하다. 협동조합장 선거도 마찬가지다. 공명정대한 선거와 조합의 발전, 나아가 농촌사회 구성원의 권익과 복리를 위해서도 선거 기탁금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하겠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