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 호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장


 금년 1월 들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다시 발생하여 닭·오리 사육농가들을 시름에 잠기게 하더니,  ‘구제역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를 획득한지 불과 한 달이 조금 지난 7월부터 경북 의성·고령에 이어 경남 합천의 돼지 사육농가에서 구제역이 또다시 발생하여 가축방역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동안 가축방역기관과 축산관련 생산자단체는 구제역 유입방지 및 재발방지를 위해 백신접종, 농장 차단방역, 주기적인 소독 등 청정화 조기달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지난 5월 ‘구제역 백신접종 청정국’의 지위를 획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난 7월 돼지에서의 구제역이 발생은 그동안 피 땀을 흘려 일궈놓은 청정국 지위를 하루아침에 물거품으로 만들었다. 구제역 역학조사위원회에서는 발생원인을  일부 돼지에 대한 백신접종이 되지 않았거나 백신접종이 부적정하게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구제역은 소독 등 농장에서의 차단방역과 함께 ‘백신접종’이 되면 전파·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질병이다. 지난 10년 11월~11년 4월까지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발생했을 때 구제역 백신을 접종함으로써 구제역을 종식시킬 수 있었던 것처럼 백신의 방어효력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아울러 금년 처음 구제역이 발생한 경북 의성 양돈농가에서도 일부 백신접종을 하지 않았던 3개 축사에서만 구제역 임상증상을 보였으며, 올바르게 접종을 한 3개 축사에서는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백신접종 시 충분한 방어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이처럼 구제역 백신의 방어력이 입증되었다면 재발원인은 누구나가 알 수 있듯이 백신 미접종 및 올바르지 않은 백신접종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구제역 백신접종 시 근육부위가 아닌 지방부위에 접종되었거나 돼지의 적정한 백신접종시기인 8~12주가 아닌 시점에서 접종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구제역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올바른 방법으로 백신을 전체 우제류 가축 사육농가에서 접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돼지 농장의 경우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백신접종을 하지 않거나 적정시기에 백신을 접종하지 않으면 언제라도 구제역 발생 위험에 노출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백신접종과 더불어 구제역 바이러스의 농장 유입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소독 등 농장 차단방역이 강도 높게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구제역의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축산농가간의 모임은 자제하고, 직접 면담 보다는 전화·서신을 통해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며, 평상시 신체·의복·신발 등의 개인위생도  항상 청정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특히 축산농가는 가축을 수시로 살펴보고 의심 증상이 발견되면 즉시 가축방역기관(1588-9060/4060, 1666-0682)으로 신고하여야 한다. 또한 신속한 초동방역 활동과 역학조사에 적극 협조해야 질병을 초기에 방어할 수 있다. 

지금도 중국, 북한 등 주변국에서는 구제역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들 나라로부터 건초·깔짚 수입, 여행객들의 불법휴대축산물 유입, 농장주들의 해외여행,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 유입 가능성은 늘 우리의 곁에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구제역 바이러스와의 전쟁은 철저한 사전예방만이 최선의 길임을 주지하고 ‘나 하나 쯤이야’하는 안일한 생각에서 벗어나 축산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철두철미하게 지켜야 한다.  

축산인 모두는 ‘나부터 실천하자‘라는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구제역 재발 및 확산방지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앞서 강조했듯이 구제역 백신 접종은 반드시 100% 이뤄져야 하며, 농장에서의 외부인·차량 등 출입통제와 소독 실시로 구제역 바이러스의 유입을 방지해야 한다.

아울러 가축방역기관·단체도 구제역 청정화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보호하고 축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에 힘써야 할 것이다. 구제역 재발이라는 뼈아픈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남이 아닌 내가 앞서 실천할 때 달성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