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사용해온 구제역 백신의 접종효과가 방역당국이 밝혀온 효능보다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제기되어온 물 백신 논란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지난해 충북 진천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최근까지 전국적으로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일선농가에 배급한 백신이 구제역을 막는데 별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6일 구제역 세계표준연구소인 영국 퍼브라이트의 검사결과에 따르면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구제역백신 오마니사는 바이러스 상관성 R값이 0.1에서 0.3에 불과해 면역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제역백신의 면역효과는 0.3 이상 1에 가까울수록 면역학적 효과가 크며 0.3 이상이 되어야 방어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동안 축산농가에서는 꾸준히 기존 백신에 대한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며 물 백신 논란을 제기해 왔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기존백신에 대해 효능은 확실하다며 농가의 접종방식에 대한 잘못만 지적해 왔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구제역 상관성 R 값 측정은 국내 검역본부 구제역 실험실에서 가장 기본적인 테스트로 항체 효능실험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방역당국 담당자들은 기본적인 테스트 없이 묻지 마식으로 4년 동안 기존 백신을 고집하면서 사실상  국내 구제역을 토착화 시켰다는 지적이다. 정부당국 또한 일선 농가에 배급한 백신 R 값이 미미하다는 것을 미리 알면서도 공개하지 않고 계속 기존백신만 고집해온 것으로 알려져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우리는 2010년 구제역을 겪으면서 3조원에 가까운 피해를 봤다. 이후에도 우리는 매년 구제역으로 인해 축산 농가들이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다.

방역당국이나 담당 공무원들이 기본적인 테스트로 항체에 대한 효능실험만 했어도 농가의 피해나 정부의 막대한 세금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었을 것이다.  이에 방역당국은 물 백신 논란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지 말아야 한다. 관련담당자의 책임추궁과 함께 방역당국의 신뢰 회복을 위해 기존의 방역체계에 대한 새로운 재정비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