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농촌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농촌의 고령화가 전체 고령화율에 비해 3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농촌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농업의 생산성도 크게 떨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내놓은 농림어업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60세 이상의 농가인구는 137만 여명으로 전체 농가인구 275만 명의 5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농가 인구의 고령화율(65세이상)은 39.5%로, 전체고령화율(12.7%)에 비해 3.2배 이상 농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농가 소득 또한 1,000만원미만 가구 수가 73만 가구로 전체 가구 수의 64%를 차지한 반면, 1억원이상  소득을 올리는 농가는 겨우 2.7%(3만1천가구)로 조사됐다.

경지규모 또한 1.0ha 미만인 농가가 72만2천 가구로 전체 농가의 65.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가 그동안 농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추진해온 영농 규모화 정책이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면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정부는 시장 개방화를 대비하고 농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 십 년간 전업농 육성과 규모화 정책을 추진해 왔지만 1ha 미만 소규모 영세농이 차지하는 비율은 90년 72% 와 별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영세농이 축소되지 않고 있는 이유는 그동안 농업정책이 우리의 경제적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단지 국제 경쟁력 확보라는 미명하에 규모화 정책으로만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 잘못이 크다. 60~70년대부터 젊음을 바쳐 농업에 종사해온 고령 농업인들이 아직도 국내 농가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산간벽지가 많은 우리 국토의 지리적 특성 때문에 쉽게 대규모 영농으로 접근하기에는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직도 많다.

정부는 우리 농업을 이제 단지 규모화를 통한 생산성 위주에서 벗어나 고령농가와 가족농 등 다양한 형태의 농가 유형에 맞춰 육성해 나가야 한다. 농업을 단순히 경제적 활동에만 한정하기 보다는 다양한 사회의 비공익적 역할과 농업자체가 갖는 복지적 기능을 정부의 복지정책과 맞물려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