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은 부엌 아궁이 앞에 앉아 밥을 먹는 일이 잦아졌습니다. 저희 집은 따로 식당 방이 없고 식당 방이 없으니 식탁이 있을 리 없어 부엌에서 밥을 해서 상에 차려 들고 와 방에서 먹는데요, 그게 귀찮으면 한 겨울이라도 가끔 부엌에서 먹습니다. 물론 아궁이의 활활 타오르는 불앞이 따뜻하고 아까워서이기도 합니다만 특히나 강렬한 냄새를 풍기는 음식이 있을 때는 그렇게 합니다. 방안에 온갖 치렁한 것들이 많아서 음식 냄새가 배이기 때문이지요.

겨울에는 찬바람 핑계로 방문을 열어 놓지 않는데 노인네들만 사는 집에 어쩌다 가보면 첩첩 닫힌 새시 문 열고 얼굴 들이밀었을 때 훅 끼쳐오는 음식 냄새와 온갖 냄새들, 한번쯤 싫었던 기억들이 있지 않던가요? 그래서 저희 집은 하루 세 번, 끼니 후에는 꼭 이삼십 분씩 문을 열어 냄새를 몰아냅니다. 그래도 청국장 냄새나 젓갈 냄새는 여간해서 잘 빠져 나가지 않아요. 그중에서도 한번은 생각 없이 방안에서 고기를 구웠다가 배인 기름 냄새가 빠지지 않아 한 사나흘 곤욕을 치루기도 했습니다.

아궁이 앞에서 먹는 밥은 더 맛이 있습니다. 가스레인지에서 조리한 음식을 그대로 들어다 입천장대일정도로 후후 불어가며 먹는 맛도 맛이지만 그냥 부엌 흙바닥에 두트레방석 깔고 퍼질러 앉아 밥그릇 손에 들고 먹는 그 격식 없음도 맛의 순수함에 훨씬 더 가까이 가게 하더군요. 그러니까 상 같은 것도 없고 명절 때 들어온 빈 사과박스 하나 엎어놓고 그 위에 몇 가지 반찬을 올리는 거지요. 저는 불을 때면서 안식구의 하는 음식을 냄새도 맡아보고 가까이 다가서서 눈으로도 보다가 입맛을 다시며 버릇처럼 술 한 잔을 마십니다.

곱게 눈을 흘기는 안식구에게는 ‘이렇게 맛난 음식을 두고 술 생각이 안 나는 놈은 바보 병신이여’ 어쩌구 저쩌구 하며 너스레를 떨지요. 직간접적으로다가 음식 솜씨를 칭찬 하는 데야 술 한두 잔에 잔소리 늘어놓을 위인은 아닙죠, 제 아내가. 그런데 요즈음 재미 진 일이 하나 생겼습니다. 그게 뭔고 하니 정지서 밥 먹을 때 쓸 상이 하나 생겼다는 겁니다.

그 상이 언제 어떻게 생겼는지는 기억에 없는데 아마도 처음엔 칠도 벗겨지지 않고 번듯하니까 나무로 만든 것인 줄 알고 놔뒀던 듯합니다. 그러던 것이 시간이 지나니까 안 보이던 새에 칠이 다 벗겨져서 플라스틱으로 정체가 드러났는데 그나마도 버리기 아까워서 마루 한 편에 자그마한 월동용 온실을 만들고 그 속에 들여 놓은 화분들의 밑받침으로 썼답니다. 그러던 것이 봄이 되어 화분들을 들어내면서 이제는 버릴 량으로 마당구석에 동댕이쳐 놨어요. 그러고도 한삼일, 부엌에서 밥을 먹기로 했는데 제가 잠깐 소피를 보고 온 사이 안식구가 그것을 집어다가 아궁이 앞에 놓고 신문지 한 장 덧깔고 상을 차린 겁니다.
그걸 보자마자 제가 무릎을 치면서 “버리지 않기 참 잘 했네. 이렇게 쓰일 줄 어찌 알았나”고 좋아 했습니다. 사과 박스보다 조금 더 크고 맨땅에 놓기 딱 좋은 거무튀튀한 플라스틱 상. 이 상에는 아무리 맛없는 반찬이 놓여도 상보다는 나을게니 못생긴 상이 밥맛을 더 나게 하지 않겠습니까? 애먼 생뚱하게 김춘수의 ‘꽃’이란 시가 생각났습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밥상 말이 나왔으니 말이지만 저희 부엌살림살이 흉을 볼작시면 스테인리스 수저와 저분 밥공기(공기란 말이 저는 참 맘에 들지 않더이다.) 이 세 가지를 빼고는 짝이 맞는 게 글쎄 단 하가지도 없습니다. 우선 눈에 들어오는 데로 주어 섬겨보면 대여섯 개 선반에 놓인 커피 잔도 같은 게 하나가 없고 양념통도 다 제각각, 냄비 따위도 다 오롱이조롱이고요. 크고 작은 그릇하며 접시며 대접이며 바가지며 하나같이 아롱이다롱이지 그 뭣이 다냐. 세트라는 게 부재 하다는 말씀입니다.

그러니까 내 기억에 십육 년 전에 돌아가신 어머니 생전에 어머니가 머리에 이고 다니는 황아장수한테 샀던 저 스트레인리스 수저 그릇 빼고는 저희들은 그릇이란 건 사본일도 없고 오로지 누가 준 것 얻은 것으로만 살았던 거지요. 안식구도 저와 같아서 격식에 구애 받지 않는지 그릇 한 가지 사자는 소리 없었고 저 또한 사라는 소리 하지 않았죠. 제가 아마 장남이 아닌 까닭에 제사며 큰일 치를 일이 없었던 이유이기도 합니다만.

이제는 슬슬 조금씩 걱정도 됩니다. 점잖은 손님, 즉 사돈 맞을 일이라도 생기면 이 중구난방 적이며 총 천연색적 사태를 어떻게 하지요? 방의 종이장판에서 올라오는 흙먼지 하며 덮일 이불이며 아휴 -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지끈. 결혼하겠다고 아직 나서지 않는 제 딸들이 아마도 이 세상에서 가장 효녀들이지 않을까요? 이 몹쓸 애비!

이런 저런 생각다가 버릇처럼 뒷마당에 나가 개미집에 숨을 하번 불어 넣어주고(그러면 개미들이 쏟아져 나와 활동을 하거든요) 이제나 저제나 기다리던 얼레지 이파리 나오는 것이 나 살펴봅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