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인증 정답은 ‘지속적 노력’뿐”

“상투적인 말같지만, 모든 친환경관련 업무나 사업은 후손들에게 이 땅을 물려 줄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개념으로 기준을 삼아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친환경인증 사업은 최근까지 여러차례 허위인증 등의 사건이 불거졌다가 지엽적인 문제로 귀결돼왔다. 그런만큼 인증에 대한 신뢰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사회적 여론의 힘이 필요할 정도로 어려움이 산적한 것도 사실이다. 인증기관을 대표하는 입장에서 친환경인증에 대한 소비자나 국민들의 인식에 대해 어떤 소회인가를 묻자, 김 범석 회장이 내민 첫 마디는 이같이 무(無)에서 유(有)를 만드는 개념 정립에 가깝게 들렸다.

“친환경 인증 틀을 잡아나가는데, 어쩌면 더디다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하지만 쉽게 갖춰나갈 문제는 아닙니다. 생산자인 농민들에게 인정받아야 하고, 소비자들에게 이해도 구해야 합니다. 인증기관으로의 자질문제도 철저한 선을 긋고 지켜봐야 합니다.” 때문에 김 회장은 관심으로 지켜봐달라고 거듭 강조한다.

지난 2009년 설립허가를 받은 친환경인증기관협회는 국내 63개 인증기관들이 모두 모여 인증업무와 관련된 기술개발, 인증심사원 자질향상 교육, 소비자·생산자 신뢰구축방안 등을 모색하는데 주력해왔다.

전세계적으로도 최고급 수준인 우리나라 인증기관에서는 품질좋은 농축수산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토환경을 지속 보존할 수 있도록, 이 모든 조건에 맞는 1차산업이 되도록 인증을 내주는 일을 한다. 특히 농업의 경우 작물의 성분검사는 물론 토양검사, 이에 따른 수질검사 등을 통해 친환경인증 여부를 판가름한다. 지속적인 관리와 감독은 물론이다.

협회의 짧은 역사에도 보궐선거에 이어 내리 3선째, 2019년까지 회장직을 맡는 김 회장의 지도력의 근간은 ‘투명성’으로 모아진다. 회원들간의 공통된 평이다.

“인증기관인 협회 회원들께는 ‘법대로 하시라’라고 주문하고 부탁합니다. 법의 기틀을 스스로 다져나갈 때 신뢰가 쌓이고, 전국민이 통하는 친환경인증이 된다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얘기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인 경제문제 등을 이유로, 일례로 일부 농자재업체와 결탁한 인증기관이 적발된 적이 있습니다. 어이없는 과거였습니다. 정해진 것에 어긋남이 사라질 경우 신뢰도 사라집니다.”   

김범석 회장의 친환경 인증에 대한 미래는 오히려 솔직한 현실의 바람을 그리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이분야 사업을 아는 사람들은 지속적인 노력이 수반되는 일이란 걸 직감하고 있다. “인증심사원의 자질개선과 더불어 복지문제부터 차원을 높여야 합니다. 안전한 먹을거리는 업무를 담당하는 모든 사람들의 사소한 습관에서부터 모아지는 것이죠. 자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 또한 사람이 할 일입니다. 투자하고 교육하고 공정한 경쟁을 만들고…, 이분야가 발전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도와주세요.”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