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걸쳐 300여개 마을을 대상으로 1000여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농촌정보화마을정책이 실시된 지 5년여가 흘렀다. 정보화마을 사업은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지역별 특성에 따라 전자상거래, 농촌관광, 농촌전통체험, 농촌민박, 생태관광, 커뮤니티형 등 유형별로 특화시켜 조성해 나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정보화마을 조성추세는 전자상거래의 초기단계인 홈페이지쇼핑몰기능으로만 치우쳐 가는 경향이 농후하다.

정보화를 통해 소득증대를 꾀한다는 측면에서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는 중요하다. 그러나 정보획득의 보편타당성이라는 입장에서 볼 때 특정부문만 발전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정보가공능력의 향상과 정보의 이용 능력은 부단한 자기개발에서 나온다. 자기개발은 끊임없는 정보에의 접촉과 교류를 통해서 연마된다. 그러기 위해서 정보는 언제·어디서나 저렴하게 접할 수 있는 인위적 장치가 필요하다. 정보화센터는 이런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장소이다.

지난 달 문화방송이 보도한 농촌정보화센터의 실상은 정보화센터의 필요성을 의심케할만한 행태를 보여주었다. 주먹만 한 자물통 속에 갇힌 정보화센터는 쇼 윈도우를 통해 바라보는 장비보관소의 모습이었다. 운영책임자는 연락이 안 되고, 관리관청은 어물쩍 넘기기에 급급했다.

아이들의 게임장화가 두렵고, 전문가의 부재로 관리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 일상적 폐쇄의 변명이다. 그렇다하더라도 이런 식의 관리는 오히려 정보화를 후퇴시키는 방식이다.

누구나 정보로부터 소외되지 않는 사회구현이 정책목적이었다면, 뒤늦게나마 유급관리자를 채용해 정상적인 센터운영을 하겠다는 관계당국의 발표는 다행스런 처사이다.
‘열린 공간’과 ‘이용자 참여’가 핵심인 웹2.0시대가 코앞에 도래했음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