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풍년으로 쌀이 남아돌자 일부 언론에서는 국내 쌀산업이 국민의 세금을 파먹는 하마처럼 과장된 보도가 나오고 있다. 또 일부 보수 언론에서는 정부가 주는 고정직불금과 변동직불금에 대해 농민을 준 공무원처럼 인식·취급하며, 식량안보에 대해서도 너무 과장된 것이라고 매도한다.

 물론 잘못된 농정책으로 인해 매년 쌀값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쌀값하락에 따른 정부의 재정이 투입되어온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쌀값에 투입되는 일부재정이 마치 국민의 혈세를 잡아먹는 하마처럼 치부하는 것은 잘못됐다. 정부의 연간 총 예산을 보면 매년 5~6%이상 증가되어 내년에는 400조원을 넘는다. 

농업관련 예산은 매년 제자리 걸음을 하거나 줄어들어 내년에도 14조 원대를 겨우 유지하고 있다. 국내 식량자급률은 겨우 22%수준이다. 이중 쌀만이 자급률 90%를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 농업소득에서 쌀이 차지하는 비중은 50%가 넘는다.

농업관련 예산중 7~8조원이 쌀 관련 예산이다. 국내 농업인구가 전체 인구의 4.8%을 과정 할 경우 과연 농업에 투자하는 관련예산들이 국민의 혈세를 잡아먹는 하마일까?
물론, 연속 4년간의 대풍으로 인한 쌀 과잉 생산과 쌀시장 개방에 따라 매년 들어오는  의무수입물량이 늘어나면서 지금 쌀수급 시장은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맞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일부 언론이나 정부부처의 형태를 보면 쌀 생산과잉에 따른 정부의 쌀값 보전책이 마치 열심히 농업에 종사해온 농업인에게 문제가 있다는 형태의 보도가 나오고 있다. 농업의 기계화와 영농기술의 발달로 쌀 생산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쌀이 남아도는 가장 큰 원인은 소비 위축에 따른 요인이 가장 크다. 지금의 농촌인구는 매년 크게 줄고 있다.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도 몇몇 대규모 영농에 종사하는 젊은 영농가를 제외하면 평생 농업에 종사해온 70~80세 어르신들이 아직도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70~80대 어르신 대부분이 농사일 중 그래도 일하기가 조금 쉬운 쌀 위주의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분들이 농업으로 70~80년대 우리 경제 발전에 가장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박근혜 정부는 대선공약에서 쌀값만은 21만원을 보장한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하지만 지금 쌀값은 공약의 1/3 수준이다. 물론, 정부도 인위적으로 쌀값을 떠받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식량안보의 마지막 보류인 쌀을 마치 국민 혈세를 잡아먹는 하마로 치부하거나 농업인을 국민의 세금을 축내는 부류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