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두 경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연구관



세계3대 음료는 차, 커피 및 카카오이다. 차는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부터 생산·소비되고 있다. 가야(서기 48년) 김수로왕 허황옥 황후가 인도에서 차 씨앗을 도입했다는 설과 신라 흥덕왕 시기(828년)에 대렴이 중국에서 차 씨앗을 도입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차 재배 및 찻잎 생산은 약 1,000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구려 옛 무덤에서는 떡차(후발효차)가 출토됐고 벽화에서는 차 문화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백제에서는 중국과 인도와의 교역이 발달해 차를 관리하는 사무실이 있었다.
또한 신라의 화랑들이 사용했던 차 다구의 유물 등이 발견됐다는 것은 차 문화가 대중적으로 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일상적으로 국민들이 차를 즐겨 마셨다고 한다.

조선시대는 대소사 행사 및 의식에서 다례문화가 발전했고 잎차 중심으로 널리 퍼졌다. 한재 이목, 다산 정약용, 초의선사 및 추사 김정희 선생 등은 한국 차 문화를 유지시켜 왔다.
최근에는 한국차학회, 한국차문화협의회 및 한국차중앙협의회 등의 학술단체, 생산자단체 및 문화단체 등은 차에 대한 생산, 소비 및 문화를 지속적으로 계승·발전시키고 있다.

찻잎은 약용에서 정신음료로 발전해 왔다. 자신의 성찰뿐만 아니라 정신을 맑게 하는 노력과 학문을 탐구하는 선비들이 정신을 가다듬기 위해 차를 즐겨 마셨다. 수천 년 동안 선조들이 마셔온 풍습이 문화로 연결돼 차의 다도 및 다례 등의 생활은 전통문화로 연결됐다. 한국 차는 역사를 가진 우리의 전통 차 생활문화이다. 차를 마시면서 서로 이야기하는 소통과 협력 추구의 정신문화이다.

차의 전통문화를 발전시키고 차 재배 농업인의 소득 증대와 차 문화 보급을 통해 국민의 건강한 생활에 이바지하고자 ‘차산업 발전 및 차문화 진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지 1년이 넘었다. 여기서 차의 정의는 차나무의 잎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차나무 품종 육성, 생산 및 품질향상 등 차 산업 관련 연구기능은 농촌진흥청에 위임되어, 최저 한계온도 안전지역인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에서 차 산업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을 하게 됐다.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내에 한국차연구실이 신설되면서 우리나라 차 산업 발전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

이제 시작이다. 시작이 반이라고 했다. 차 생산 및 소비 현장의 문제는 많다. 국산 녹차의 소비량이 증가하지 않고 있고 또 국내 개발 품종 보급률도 낮다. 한국 차는 일본이나 중국차보다 가격, 품질 면에서 경쟁력도 취약하다. 이 모든 것들이 하루아침에 해결될 수는 없겠지만 한국차연구실에서 앞으로 차 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소비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차 연구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나갈 방침이다.  

차 생산, 가공 및 문화체험 등과 연계한 차의 6차산업화를 추진하고 기후변화 대응 차나무 고품질, 기능성 및 내한성 유전자원 평가 및 품종육성, 고기능성 향상 및 생산비 절감 등을 위한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인력이 더 확보되면 우리나라의 전통 제다방법 연구와 한국 차의 우수성을 검증해나가고자 한다. 

찻잎은 사람에게 에너지와 즐거움을 준다. 한국 차는 신선한 찻잎과 다원을 활용하여 국민 건강에 보탬이 되고 선조들의 정신적, 문화적 가치를 이어받을 수 있다. 오늘부터라도 차를 가까이 하는 습관을 기른다면 정신적, 육체적 건강도 함께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