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농촌, 116만명 일자리 창출 가능”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힘을 기울이는 상황에서 농산업 분야가 투자 대비 고용효과 뿐만 아니라 청년세대의 진로 의향도 높아 관련 정책 추진과 함께 공공부분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6월 14일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농업·농촌 일자리 창출 가능성과 새로운 도전’ 이슈토론회에 따르면 농산업 분야는 향후 종사자 전망과 현재 종사자의 은퇴 등을 고려할 때, 2023년까지(2013년 대비) 116만명 정도의 인력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 생산부문 61만명, 외식부문 34만명, 농림식품가공 9만8,000명, 농림 서비스 2만9,000명, 농림 투입재 5,000명, 농림유통 8만명 규모의 고용 창출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마상진 연구위원은 ‘청년 일자리와 농산업’ 이라는 발표를 통해 농산업 청년 고용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개입을 주장했다. 특히 농산업 고용의 질 제고와 산학협력 강화,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정책 추진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마 연구위원은 “농산업 고용 시장은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7%로 어느 산업보다도 비중이 높아, 어떤 정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 청년 고용 여건이 달라질 수 있다”면서 “조사에 따르면 농고생의 42.2%, 농대생의 73.8%, 일반계 대학생의 30.4%가 농산업 분야 진로 의향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덧붙여 “현재의 청년 고용 문제는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사회 구조적 문제로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부연구위원은 ‘지역특화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성과와 도전’을 통해 일자리 창출 관점에서 지역특화산업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정도채 연구위원은 “향후 지역특화산업 육성 정책과정에서 단순한 일자리의 증가보다는 고용 안정성이 보장되는 괜찮은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면서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농촌 지역 활성화를 위해 농촌의 문화, 경관, 환경 등 다양한 영역에서 신규 직종을 발굴·육성하고, 인력 유입을 촉진할 수 있는 지역의 근로환경을 개선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정섭 연구위원은 ‘농촌 주민 삶의 질 제고와 일자리 정책의 연계’를 통해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의 적극적 추진을 강조했다. 공공 서비스만으로는 해소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이미 한국 농촌 곳곳에서 시도되고 있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김정섭 연구위원은 “농촌 주민들이 협동조합으로 운영하는 식당과 방과 후 프로그램, 만성정신질환자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돌봄농업 등이 그것”이라며 “농촌 지역사회 내의 다양한 주체들이 새로운 협력관계를 이루어 대응해 나갈 때 공공부문의 직접 개입만으로는 해소할 수 없는 여러 문제점에 도전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