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시장 마비…소비자 불안감 가중

‘살충제 계란’ 논란이 확산되며 계란 유통이 전면 정지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업계는 ‘살충제 계란’이 고병원성 AI를 능가하는 파괴력을 가져 계란산업의 위기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뾰족한 대책도 없어 계란산업의 위기는 깊이를 가늠조차 못할 지경이다.

정부는 ‘살충제 계란’을 최초 발표한 지난 14일 이후 산란계 전체 1,239농가에 대한 살충제 전수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17일 현재까지 876농가의 검사를 완료하고 이중 32개 농가에서 ‘피프로닐’과 ‘비펜트린’ 등의 성분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들 농가 물량은 전량 회수 폐기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32개 농가 중 문제의 사용금지 된 ‘피프로닐’ 성분은 총 6개 농가에서 검출 됐으며 ‘비펜트린’ 성분 초과 검출은 23개 농장이었다.

또 ‘플루페녹수론’ 2건과 ‘에톡사졸’ 1건 등 농약기준치 초과 부적합도 조사됐다.
또한 현재까지 검사가 완료된 876농가 중 친환경 무항생제 인증기준에 미흡한 농가는 총 62농가였다. 이 중 부적합 농가는 27농가, 친환경 인증 기준만 위배한 농가는 35농가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27개 농가의 계란은 회수 폐기 조치 중이다.

업계는 이번 살충제 파동이 예견된 인재였다고 꼬집고 있다. 산란율을 크게 떨어트리는 닭 진드기의 퇴치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탓에 무지한 농가들의 살충제 사용이 그대로 방관됐던 것. 더욱이 시중에 판매 중인 닭 진드기 퇴치 제품의 효과가 극히 미미해 농가들 입장에선 그나마 효과가 입증된 살충제를 선호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정부가 이미 살충제 오남용 사례를 접하고도 방관해서 사태를 악화시켰다는 지적이다. 지난 4월 한국소비자연맹이 ‘유통달걀농약관리방안 토론회’를 개최하고 시중에 유통중인 계란, 농장단위 계란 등 살충제 검사를 실시해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지만 파동이 일어나기 전까지도 정부는 미동도 하지 않았다. 

이번 파동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당사자는 소비자들과 산란계 농가들이다. 특히 산란계 농가들은 고병원성 AI 악몽에서 벗어나 재도약을 꿈꿔왔지만 또다시 깊은 시름에 잠겼다. 일부 농가들의 몰지각한 행동으로 인해 전체 계란산업이 요동치는 현실에 벙어리 냉가슴을 앓은 심정이다.  

특히 이번 기회에 농장 단위에서 계란 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적어도 자신이 생산한 계란에 대한 품질을 자신이 보증하는 시스템이 가동되는 것은 당연하다는게 업계의 주장이다.

계란 유통시장도 혼란 그 자체다. 유통이 전면 중단된 것도 모자라 이미 판매된 계란까지 반품이 줄을 잇고 있다. 갈수록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소비둔화 현상이 극심해져 계란 유통시장이 언제쯤 활기를 되찾게 될지 기약이 없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