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계열사 상생 통해 지속성장 꾀해야

육계 계열화사업의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계열화사업을 통해 농가소득과 닭고기 생산액이 크게 성장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최근 ‘닭고기 산업 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지난 10년간 닭고기 생산액이 약 2배 성장하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였다고 밝혔다.

농경연에 따르면 국민 1인당 닭고기 소비량과 국내 생산량이 최근 10년 사이 각각 1.6배 성장했고 육계의 대표적인 생산성 지수인 사료요구율이 지난 1998년 2.00에서 2016년 1.58로 향상됐다. 이를 통해 2016년 사육농가 소득(사육경비)이 1억 7,000만원으로 지난 2000년 5,000만원 대비 약 3.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닭고기 산업은 FTA 등 개방화속에서도 국제 경쟁력을 확보해 전체 축산물의 자급률이 2007년 71.5%에서 2016년 64.9%로 하락하고 있는 반면 닭고기 자급률은 최근 10년 평균 84%로 축산물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비약적인 발전 이면에는 ▲농가와 계열사간 분쟁소지 내재 ▲계약사육 농가 평가제도 운영에 대한 적정성 논란 ▲유사 계열업체의 부도 등에 따른 농가 피해 ▲도매가격의 신뢰성 저하 ▲육계 수급 관련통계 미흡에 따른 생산 및 출하조절 한계 등을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 사안으로 지적됐다.

특히 ‘닭고기산업 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에 있어 미래 비전을 ‘국민에게 신뢰받고 농가와 업체가 상생하는 육계산업’으로 제시하고 ‘생산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산기반 확충’, ‘닭고기 유통 효율화와 소비 확대’, ‘농가와 업체의 상생 협력을 통한 건전한 육계산업 발전’을 전략목표로 설정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무엇보다 ‘닭고기산업 발전 중장기 계획’에는 시설현대화 확충을 우선  순위로 뒀다. 종계장, 부화장, 육계 농가가 계절적인 영향을 통제할 수 있는 사육 환경을 갖추고 질병도 함께 제어할 수 있는 전천후 계사를 확보한다면 생산성 향상과 계사 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육계와 삼계, 원종계 공급체계 구축을 종자주권의 차원에서 국가가 주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더불어 닭고기 산업 통계통합시스템을 구축해 이 시스템에 의한 가격조사, 종계 및 육계 사육현황 자료를 통해 수급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밖에도 안전한 수송용 물류기기(P-BOX)를 만들고 물류기기 공동이용시스템을 구축해 닭고기 물류비용을 절감해야 하고 가금산물 이력제를 조속히 도입해 닭고기에 대한 안전성 관리도 빠른 시일 내에 안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1인용 또는 간편 닭고기 가공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비해 부분육 생산을 위한 대닭(2.5kg) 사육을 늘려야 하고 정부가 닭고기 가공업체에 대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 지원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끝으로 농경연은 농가와 계열업체의 상생 협력을 통한 건전한 육계산업 발전을 위해 표준계약서가 의무적으로 사용돼야 하고 계열화사업을 통한 농가들의 불만이 대화를 통해 개선돼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영세한 계열업체는 등록제가 아닌 허가제로 전환해 부실 사태를 사전에 차단하는 옳다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