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위에 움츠리고 있던 생명들이 새싹을 띄우면서 농업·농촌에는 영농준비로 손길이 바빠지고 있다. 봄철이 다가오면  농업인의 마음도 바빠진다. 땅심을 높이기 위해 논과 밭을 갈아야 하고 퇴비도 내야 한다. 또 이맘때가 되면 재배 목적에 맞는 종자 선택과 씨앗도 시기에 맞춰 뿌려야 한다.

매년 되풀이되는 농사일이지만 우리 농업인의 마음은 그리 녹록히 못하다. 해가 갈수록 농업환경은 어려움을 더하고, 농가수익은 매년 뒷걸음질 치거나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농자재값이나 종자값·인건비는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생산된 농산물 가격은 수입농산물로 인해 제값을 받지 못하면서 고스란히 생산 농가의 피해로 돌아온다. 이러다 보니 농업·농촌에서 젊은 농업인은 찾아 볼 수가 없고 농가인구의 70% (60~70대)가 고령농업인이 주축이 되면서 농업·농촌의 풍경도 변화고 있다. 하지만, 우리 농정책을 되돌아보면 변화된 현상황을 직시하지 못해 매번 기존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농업·농촌의 고령농업인(60~70세)이 70% 이상을 차지·50대 이하의 젊은 농업인은 20%에도 못 미치고 있는데도 정부정책을 보면 변화된 현 농업구조를 반영하지 못하고, 20%도 안 되는 젊은 농업인 위주로 농업정책이 움직이고 있다.

물론, 우리 농업의 장래를 위한 젊은 농업인 육성도 옳은 방향이다. 하지만, 이제는 변화된 현장 중심의 농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고령농가에 대한 대책은 단순히 농업문제로 풀어가기보다는 사회복지차원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우리사회에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 중 고령 농업인들은 스스로 자급자족 하면서 정부의 사회적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사회 정책적문제를 감안해 고령농업인에 대한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 가야 한다.

또한, 정부가 농업·농촌을 단순히 하나의 산업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을 유지할 수 있는 삶의 터전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정부는 농업·농촌을 고령농업인들이 삶의 터전으로 노년을 활기차게 보낼 수 있도록 새정책 플랜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