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 자원화를 위해 추진되는 액비화 정책이 기후변화, 농지감소 등으로 한계에 이르렀다는 주장이다.

이에 소규모 농가는 공공처리장 위탁, 중규모 농가는 자원화 중심, 대규모 농가는 고도화된 정화방류를 추진하는 등 농가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가축분뇨 처리 방식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한돈협회는 지난 16일 서울 제2축산회관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양돈분뇨 적정처리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한국축산경제연구원 이상철 부원장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총 가축분뇨 발생량은 지난 2010년 4,653만톤에서 2016년 4,699만톤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이중 양돈분뇨 발생량이 가장 많은(41.3%) 것으로 나타났다.

가축분뇨는 매년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퇴·액비화 되는 비율도 늘어나고 있지만, 살포지 감소와 기후변화에 따라 처리여건 변화로 액비살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지난 1970년 대비 2016년 강우일수는 평균 4.8일 증가했고, 강수량의 경우 1970년대 이후 계속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 2016년 강수량의 경우 장마철 강수량이 감소해 연 평균 강수량이 감소했지만 액비살초시기인 4월, 9월, 10월의 강수량이 평년보다 높아 살포 적기에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양돈농가, 공동자원화시설, 액비유통센터의 액비저장조의 수위가 높아지는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더군다나 농경지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퇴·액비 살포를 위한 토양 확보는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시화로 인한 세대수 증가와 돼지 사육두수 증가로 악취 민원에 의한 액비살포의 애로사항은 더욱 심해질 것이란 우려가 높다.

그러나 액비살포면적 확보가 용이한 지역에서는 퇴·액비화 개별처리와 액비유통센터를 통한 위탁 살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지역별 특성에 맞춰 액비 살포 정책이 필요하다고 이 부원장은 제안했다.

이 부원장은 “현재 양돈농가 밀집지역에서는 개별처리 정화방류와 공공처리장을 이용한 정화방류 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고, 양돈농가 밀집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퇴·액비화 개별처리와 액비유통센터 위탁을 주로 활용하고 있다”면서 “현행 가축분뇨 처리 지원사업은 ‘액비화’ 중심인데, 양돈분뇨 처리 트렌드를 방영한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규모는 공공처리장 위탁, 중규모는 자원화 중심, 대규모는 고도화된 정화방류 등을 추진한다면 지역 내 액비 살포지 부족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중소규모 농가의 안정적인 위탁처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