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남북 정상 간의 회담이 성사 되면서, 남북한 농업분야도 상호협력을 위한 대화의 물꼬가 트일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 위원장은 지난달 2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남북한의 대결상태를 끝내고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남북 정상간 만남으로 우리 농업분야도 남북 협력을 위해 속도를 낼 전망이다. 남북한 농업분야는 남북정상회담이 있을 때마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전략 카드로 자주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남북농업의 교류는 한반도의 정세 변화에 의해 중단과 교류를 반복해 왔다. 남북 교류를 위한 경제 협력에서 농업분야의 협력은 다른 어떤 분야보다 중요하다. 만성적인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주민들을 위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문이 농업분야로 남북 교류를 통한 북한 주민의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선결과제다.

2000년 김대중 정부 때와 2007년 노무현 정부 때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우리 정부는 매년 40~50 만 톤의 쌀을 북한에 지원해 왔다. 하지만, 2010년 천안함 사태로 인한, 대북제재 조치로 북한의 쌀 지원이 중단됐다.

이번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농업분야에 새로운 물꼬가 트이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의 식량문제 해결뿐 아니라, 국내 재고 쌀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새로운 활로가 될 것으로 기대 된다. 북한의 식량 문제는 매년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식량부족으로 매년 수만 명의 아사자가 속출하고 있다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남북 교류가 정상화되면 농업부문은 쌀 지원 뿐 아니라 다양한 농업분야에서 농업 협력을 통해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부족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북한의 농업기술은 우리 60년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북한의 식량난은 영농기술 부족과 피폐화된 농업수리 시설로 인해 농업생산성이 저하되면서 매년 반복되고 있다. 북한과의 경제협력에서 가장 먼저 선결되어야 할 분야가 남북 농업의 교류문제다. 하지만, 우리 농정의 현실은 그리 녹록치 못하다. 농업 수장의 공석이 길어지면서 해결해야할 농정과제들도 산적해 있다. 하루빨리 농정과제나 남북농업교류 협력을 위한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농림수장 임명을 청와대는 서둘려야  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