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닭協, 정부 특단대책마련 촉구

토종닭산업이 심각한 위기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토종닭관련 종사자들은 당장 생계를 위협받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위기감에 휩싸이고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장기간 불황에 허덕이고 있는 토종닭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는 동력마저 잃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사)한국토종닭협회에 따르면 14일 현재 토종닭시세는 kg당 1,400원대에 머무르고 있다.
토종닭의 최소 생산비인 2,600원을 감안하면 반토막 시세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종사자들의 목을 죄고 있는 것이다. 

토종닭산업의 최대 성수기인 ‘복’ 시즌이 30여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워낙 적체돼 있는 물량이 많고 소비가 좀처럼 회복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다보니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대책을 내놓지 않는 한 불황을 극복할 대안이 없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토종닭산업의 위기는 지난해 발병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한 소비감소가 손꼽히고 있지만 차단방역과 AI 조기종식이라는 명목으로 산닭시장과 중추시장을 폐쇄한 것이 결정적 원인이었다는 분석이다. 산닭시장은 전체 토종닭 유통시장의 30%를 차지할 만큼 지대한 역할을 도맡고 있다.

그러나 산업이 위기에 내몰렸을 때 입추 자제 등 강력한 자구책이 마련되지 못한 것도 한몫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로 인해 출하물량이 제때 소비되지 못하고 물량이 적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병아리 입추는 지속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토종닭산업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게 됐다는 것이다.

여기다 지난해보다 종계 분양수가 17%나 늘면서 병아리 생산량이 크게 증가해 토종닭산업이 더욱 깊은 수렁에 빠질 수밖에 없었던 것을 두고 업계에서는 ‘자업자득(自業自得)’이라는 비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 때문에 토종닭협회의 역할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토종닭산업이 이 지경에 이를 때까지 과연 무엇을 했냐는 비난이 일고 있는 것이다.

토종닭협회는 지난 과거 적정 종계 분양, 병아리 입추 등 역할을 다하고 싶지만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담합’으로 간주할 소지가 많아 바라만 볼 수밖에 없었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공정위는 토종닭협회를 비롯한 가금 관련 협회와 계열화사업자 등에 대해 ‘담합’ 행위는 없었는지 등 공정거래 조사 중에 있다.

토종닭협회가 토종닭산업 불황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없는 입장이다 보니 사육농가와 유통상인들은 당장 생계위협과 부도위기에 휩싸이고 있다.

한 유통상인은 “불황이 장기화 되면서 그야말로 ‘알거지’나 다름없는 신세가 될 날만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유통시장이 마비 수준에 이른데다 언제쯤 불황이 끝날지 기약이 없어 먼 산만 바라보며 한숨만 내쉬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했다.

토종닭협회는 조속한 시일내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지난 2014년 전북 김제의 한 토종닭 농가가 가격 하락과 생계의 어려움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과 같은 최악의 사태가 재발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축산물이 남아 돌때는 항공기 수입도 마다하지 않던 정부가 과잉일 때는 ‘모르쇠’로 일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축산법 등에서도 수급조절을 명시하고 있는 만큼 정부가 적극적인 시장 개입에 나서 토종닭 수매 등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