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 출산, 폐경 등에 따른 호르몬 변화 영향

우울증 환자가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12년 58만8천명에서 2017년 68만1천명으로 늘어나 15.8% 증가했다.

남성은 2012년 18만2천명에서 2017년 22만6천명으로 24.0% 증가했고, 여성은 2012년 40만6천명에서 2017년 45만5천명으로 12.1% 증가했다. 매해 진료환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2.1배 가량 많았다.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이 많은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재섭 교수는 여성 호르몬’의 영향을 꼽았다. 여성은 월경, 출산, 폐경 등에 따른 호르몬 변화가 극심한 경우 감정의 흔들림을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 특히, 중년기 여성들이 폐경 전후에 겪게 되는 호르몬 변화는 생물학적인 차이 이외에도 사회적 환경 및 기대되는 역할의 차이도 여성 우울증에 영향을 미친다고 박 교수는 설명했다.

박 교수는 “여성들은 육아 및 가사와 직장생활의 병행, 시부모님과의 갈등, 남성중심 사회에서의 생활 등으로 사회적인 면에서나 또는 가정적인 측면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며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들의 경우 우울 증상의 표현을 꺼리거나 알코올과 같은 물질 사용이 우울증상을 가리기 때문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2017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70대 여성이 4,30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60대 여성 3,035명, 50대 여성 1,955명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16만 6천 명, 24.4%)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12만 2천 명, 17.9%), 50대(11만 8천 명, 17.3%)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5만 명, 22.0%)이 가장 많았고, 60대(3만 7천 명, 16.2%), 50대(3만 6천 명, 16.1%)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11만6천 명, 25.5%)이 가장 많았고, 60대(8만 5천 명, 18.7%), 50대(8만 1천 명, 17.8%) 순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노인층에서 우울증 증가가 높은 이유에 대해 “경제력 상실, 신체기능 저하, 각종 내외과적 질환, 사별과 같은 생활사건 등을 노인 우울증의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며 “또한  최근 가족 제도 변화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와 가족 내 갈등 증가,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늘어나는 사회 분위기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우울증’ 질환을 치료 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에 대해 박 교수는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증상이 악화해 일상생활이나 직장생활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자살 사고가 악화해 실제 시도로 이어진다”며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 경우에도 우울 증상이 오랜 기간 지속될 경우 점차 대인관계를 멀리해 사회적으로 고립되거나 직장에서의 업무 수행능력이나 학교 성적이 떨어지는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간혹 치료하지 않고도 좋아졌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재발과 악화를 반복하는 우울증의 특성상 시간이 지나 재발과 악화로 반복적으로 고통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