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마을기업 32%, 매출액 2천만원 이하

제주도내 마을기업 3곳 중 1곳은 매출액이 2,000만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수익 창출과 운영자금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마을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판로개척 지원, 기업홍보 및 마케팅 지원, 기업 기초컨설팅 지원 등 전방위적인 행정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제주연구원 최영근 전문연구위원은 ‘제주지역 마을기업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마을기업, 농업 관련 업종이 대다수

마을기업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업종별 제조업(38.8%)이 가장 많았고, 농·임·수·축산업(29.0%), 도소매업(16.1%), 문화·예술·관광서비스(12.9%), 환경(3.2%) 등 순으로 나타났다.

총 매출액은 5,000만원 이상이 25.7%, 매출 없음과 2,000~3,000만원 미만이 각 22.6%, 1,000만원 미만과 1,000~2,000만원이 각 9.7%, 4,000~5,000만원 미만이 6.5%, 3,000~4,000만원 미만이 3.2% 등으로 조사됐다.

기업형태는 영농조합법인(48.4%), 주식회사(29.0%), 협동조합(12.9%), 영농회사법인(9.7%) 순으로 많았다.

주력상품 및 서비스는 농수산물(26.7%)과 농수산물 가공품(22.0%)이 많았고, 체험상품과 기타(각 17.1%), 제품 제조(7.3%), 음식과 전통주(각 4.9%) 등으로 나타났다.

마을기업 운영 시 애로사항으로는 안정적 수익 창출(17.9%), 운영자금 부족(16.7%),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원정책 미흡(15.6%), 전문인력 확보(13.3%), 마을기업 생산 재화 및 서비스 판로(11.1%), 신규 사업모델 개발(7.8%), 기업운영체계 구축과 적정수준 임대료의 사업장 및 작업장 마련 등이 꼽혔다.

향후 해결과제로는 판로 확보(25.9%), 운영자금 확보와 상품 및 기술 개발, 네트워크 구축(각 16.1%), 실무진의 능력 배양(12.9%), 운영인력 확보(9.7%) 등으로 나타났다. 마을기업의 시급한 지원사업 분야는 네트워크를 통한 판로개척 지원(38.7%), 기업 홍보 및 마케팅 지원(25.8%), 지정 및 재지정 관련 상담(16.1%), 기업 기초컨설팅 지원(12.9%), 마을공동창고 용도변경 지원과 도 차원의 행정적 지원(각 6.5%) 등으로 조사됐다.

마을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선 예산지원 확대(22.7%), 마을기업에 대한 교육 및 홍보 강화(18.2%), 사업장 및 작업장 등 공간지원 확대(13.6%), 컨설팅 지원과 전문인력 지원, 판로개척 및 홍보 지원 등 전방위적 행정지원 강화(각 9.1%) 등을 꼽았다.

마을기업 발전 위해 장기발전 플랜 수립해야

특히, 최영근 제주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마을기업 실태조사와 관계자 심층인터뷰, 사례분석을 한 결과 도내 마을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단계별·체계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단기과제로써 제주형 마을기업 개념 정립, 장기발전 플랜 수립, 마을기업 지원기관의 역할 강화, 마을기업 관계자 협력체계 구축 및 정례화, 마을기업 가치 고취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육 내실화, 사회적경제 기업과 연계 강화, 마을기업 생산품 및 서비스 품질 제고, 마을기업 공동 홍보 강화, 사회공헌사업 확대 전개 및 지역주민의 지속적 참여 확대 등을 제시했다.

중기과제로써 지역주민과 공동체 의식 강화, 제주형 공동체기업 고유의 특성이 반영된 지원 확대, 재정 및 경영시스템 지원 확대, 마을기업 협의체 조직의 내실화, 소규모 지역단위 연합회 조직 및 지원 강화, 재능 나눔 풀(pool)위원회 구성과 멘토제도 도입·운영, 기업적 경영마인드 고취, 스타마을기업 발굴․육성, 제주형 마을기업 심벌(CI) 개발 등을 제시했다.
å
장기과제로써 도시형 마을기업 육성, 비즈니스 관계망 구축, 제주지역 마을특성에 적합한 정책지원 프로세스 도입, 젊은 청년층의 마을기업 지속적 참여 유도, 마을기업가(리더)의 양성, 마을공동체 사업과 마을기업 육성 사업 간 연계성 강화, 마케팅 및 판로지원 등 시장지향성 강화, 지역자원을 활용한 공동체 비즈니스모델(수익모델) 개발·구축, 업종 다양화 등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