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1인당 직불금 49만원, 전국평균 53% 수준


유럽의 공동농업정책을 통해 일자리창출과 경제성장을 창출하고, 농업직불금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보고서나 나왔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정책연구실은 최근, 유럽의 지속가능한 농업정책을 소개하는 연속 기획 그 첫 번째로 ‘유럽의 농업직불금제도’를 소개한 정책차롱을 발간했다.

보고서는 유럽의 공동농업정책을 통해 가장 최근의 농업직불금 정책의 중요한 변화로 ▲더 공정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소득의 재분배기능이 강조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로 유럽연합이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간 배정한 전체 예산의 38%가 공동농업정책(CAP)을 위해 할당되어 있다. 이 가운데 72%인 2,930억 유로(약 376조원)가 직불제 예산으로 편성되어 있어 연간 직불제 예산규모는 410억 유로(약 53조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 10년간 평균적으로 농가소득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2015년 기준 약 700만명의 유럽 농업인들이 직불금의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럽의 농업직불금은 농업생산량과 상관없이 시장수요 내지 경기변동에 따라 농가의 소득이 감소하는 경우에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농가의 자생력을 길러주고 있으며, 불확실한 경제 환경 속에서 사회안전망 역할을 통해 농가의 전반적 소득을 보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농업인들은 안전한 농산물, 공중보건, 동물보호·복지, 엄격한 환경보호 의무 등을 준수해야 하고 이러한 규정들을 어길 경우 직불금을 감액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농업직불금이 지역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을 보호하는 역할과 함께 농업에 의존하는 연관 산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함으로써 농식품산업에서 지역 관광산업으로까지 긍정적 효과가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경학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운영위원장은 “우리 농업직불금은 농가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대로 주요 국가 대비 월등히 낮은 수준이다”면서 “직불금제도 예산의 대부분이 쌀’작물에 편중되어 있는 기형적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11월 대통령직속정책기획위원회(농정개혁TF)의 공익형 직불제 개편방향과 궤를 같이해 농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제주형 농업’ 실현을 위한 혁신적인 농업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농가는 월동채소 가격 불안정, 감귤류의 경쟁력 약화 등으로 경영환경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2017년 기준 농업경영비는 4,235만원으로 전국평균 2,053만원에 비해 2배나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반면, 제주도의 직불금 1인당 지급액은 전국평균의 약 53%인 49만원에 불과하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