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진 곤 박사(농촌진흥청 고객지원담당관)


최근 잘 먹고 잘 살자는 웰빙 바람을 타고 친환경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농산물 시장도 급격한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 성향도 양과 가격보다는 질과 건강을 중시하게 되었다. 이런 까닭에 친환경 농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농업의 트랜드는 친환경 농업, 순환농업, 토종농법, 흙살림 순환농업, 자연농업, 유기농업, 생태농업 등 환경농업 개념으로 바뀌어 이제는 시장에서 친환경농산물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좁은 경지면적과 영세한 농업구조를 지니고 있다 보니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농사를 짓는 농가가 많다. 간혹 일부 농가가 과다한 농약의 사용으로 안전성 논란을 빚기도 한다.

화학비료와 농약을 다루는 학자와 회사들은 엄격하게 마련된 안전사용 기준만 지키면 건강에 전혀 지장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여러 가지 과학적 실험이나 비료와 농약의 까다로운 등록규정을 든다.

반면, 소비자나 환경론자들은 화학비료와 농약은 사람과 토양, 작물에 잔류하여 여러모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모두가 일리가 있는 이야기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은 친환경 농산물 생산 쪽으로 기울고 있다. 친환경 농업을 함으로써 우리는 얼마나 환경을 보전할 수 있을 것인가? 소위 지속 가능한 농법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지속가능성이란 결론적으로 ‘우리가 영위했던 환경을 얼마나 오염시키지 않고 우리의 후손에게 물려 줄 수 있는 가?’이다. 우리는 먹을 것을 생산하면서 필연적으로 땅(지력)을 수탈하고, 물을 오염시키게 된다. 그 결과로 땅이 척박해지는 것은 물론, 자연적인 에너지 흐름과 환경의 흐름이 깨지게 된다. 이 거대한 자연의 흐름을 인간이 필요해서 깨는 것이다. 이것을 최소화하고자 땅에 각종 유기물을 되돌려 주고 물을 적게 쓸 수 있는 재배법이 개발됐다. 현재의 농업기술은 여기까지 왔다.

그러나 오랫동안 되돌려 주는 데는 인색한 수탈농업으로 지금 우리나라 농토는 몸살을 앓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친환경농업의 가치와 역할을 되짚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국민의식도 친환경농업을 자신과 가족의 건강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환경과 같이할 정도로 성장했다.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함으로써 우리의 환경을 얼마나 보존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예를 들면 ‘이 친환경농산물을 구입하면 우리의 후손에게 00시간 더 좋은 환경을 물려 줄 수 있습니다.’, ‘당신이 선택한 친환경 농산물이 우리의 환경을 보전합니다.’ 등 소비자에게 공감이 갈 수 있도록 알리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기부개념의 도입이다.

‘친환경농산물을 소비하는 것은 당신의 건강을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환경을 지키는 기부입니다.’라는 기부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국민의식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데, 친환경에 대한 생산자와 정책의 접근 방법은 다소 미흡하다고 생각된다.

이제 적극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친환경농산물을 구매하는 사람들에게도 기부에 준하는 세금혜택 등을 준다면 훨씬 더 큰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보호와 보전에 관한 관심은 이미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돈 주고 사야 하느니, 이산화탄소 펀드가 만들어진다느니 하는 말들을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또한, 리오선언(Rio Declaration), 람사협약(Ramsar Convention), 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 등 국제사회의 환경에 대한 접근이 권고에서 규제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것도 그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농업과 친환경을 올바로 묶어 줄 수 있는 친환경농산물 정책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며 앞에서 언급한 ‘친환경농산물 구매자의 기부 개념’ 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인 대안들이 마련되어야, 위기에 처한 우리 농업과 친환경 농업인들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