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이하 교육부)는 지난 7일 ‘05년부터 시작한 농어촌 우수고 집중 육성방안이 금년도에 미 지정 군지역 44개교를 신규로 지정해 총 88개교로 마무리한다고 업무보고에서 밝혔다. 이렇게 되면 전국 모든 군 소재지에 1개교 이상의 농어촌 우수고가 지정돼, 전국 경쟁력을 가진 명문고가 육성되고 우수인재의 도시유출을 방지하게 된다고 교육부는 밝히고 있다. 이는 ’05년도 육성 우수고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이 평균 20% 가까이 상승된 통계를 보더라도 당초 시도했던 가시적 성과는 올린 것으로 보인다.

농어촌을 생활기반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자녀 교육문제는 언제나 목에 걸려있는 가시처럼 답답한 화두다. 자녀의 미래가 교육에 달려있음은 도·농의 구별이 없다. 교육부의 우수고 육성방안은 이런 면에서 농어민의 도시이주 욕구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분명히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문제는 교육부가 의도했던 농어촌의 발전과 활력유지를 위한 젊은 인재양성이라는 목적과 달리 대학진학을 위한 도시민의 경유지로 전락될지도 모른다는 기우다.

교육과정 운영이나 학생 선발 등에서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자율학교’로 지정해 교장 초빙·공모제 등과 같은 선진 교원임용 제도를 우선 적용할 방침이니, 언뜻 보기에도 획일적인 도시학교보다 교육환경이 우수하다고 느낄 수밖에 없다.

자녀교육에 관해서는 전 세계 어디보다 열정적인 우리네 부모들이 이같이 좋은 기회를 흘려보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농어촌 자녀들을 위한 우수고 육성방안이 자칫 빗나가 도시민 자녀들의 대학진학을 위한 정거장 노릇이나 한다면, 이는 원하는 바가 아니다.

시·도 교육청의 선정과정에 일정한 공통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선정과정이 체계화되고, 사업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마련된다면 이런 우려가 불식되고 애당초 의도했던 농어촌 젊은이들의 꿈을 키울 수 있는 반석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