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호의 뜻은 우아할 아(雅)자와 부르짖을 호(號)자를 사용하는바, 예전에는 고급신분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였다. 아호에는 부모가 지어준 이름을 아끼고 소중하게 간직하기 위해 본인스스로 지어서 부르는 자호(自號)가 있으며, 벼슬에 올라 공을 세우고 죽은 다음에 임금으로부터 하사받는 시호(諡號)가 있고, 개인의 정서와 취향에 따라 스승 또는 집안의 어른들이 지어 불러주는 아호가 있다.

이처럼 아호가 널리 사용된 것은 유교적인 사상에서 어른의 이름을 ‘존함(尊啣)’이라 하여 함부로 부르지 않았으며, 관명은 아끼고 쉽게 불리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부터 호를 지어 부르는 것이 보편화 되었으며,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호를 지어 부르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조선시대까지 호를 짓는 방법, 또는 기준이 된 것이 본인과 인연이 있는 장소나 지명을 호로 삼은 것이었다. 김태정 선생은 ‘도곡’이라는 지명을 호로 사용하였고, 품은 뜻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으로 서예가 김응현 선생은, 항상 처음과 같은 자세로 공부에 임하겠노라고 ‘여초(如初)’라는 호를 지었으며, 자신이 처해있는 환경이나 여건을 호로 삼은 이황 선생은, 벼슬에서 물러나 시냇물을 벗하면서 학문연구에 전념하겠다는 뜻으로 ‘퇴계(退溪)’라 자호(自號)하였다.

아울러 많은 사람들의 아호에도 한자의 자의(字意)가 좋은 뜻을 가진 한문을 채용(採用)하여 산, 달, 바위, 호수, 강, 바다, 구름, 꽃, 나무 등에 자신의 의지(意志)를 담은 표현으로 승화시키는 아호로 사용하였다. 대표적으로 정약용의 다산(茶山), 한용운의 만해(萬海), 이상재의 월남(月南)이라는 호와 같이 우주와 자연에 존재하는 사물을 한자로 축약하여 사용하였던 것이다.

조선시대까지는 호를 한자로 지었으나, 국문학의 연구가 활발했던 한말 이후부터는 한글로 호를 짓기도 했다. 국어학자인 주시경 선생의 ‘한힌샘’, 이병기 선생의 ‘가람’, 최현배 선생의 ‘외솔’, 전영택님의 ‘늘봄’ 과 같은 아름답고 세련된 ‘우리말’의 아호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멋지고 아름다운 뜻이 있는 아호를 사용하지 않은 사람이 있었다. 퇴계선생의 14대손이며, 민족시인이고 독립운동가인 ‘이원록’이다. 그의 호에 대한 논쟁은 크게 두 가지이다.그가 스물네 살 되던 1927년, 대구 형무소에서 있을 때의 수감번호가 ‘64’(육사)라느니, 역사를 죽인다는 뜻에서 육사(戮史)라고 지었다가 육지 (陸)으로 고쳐지었다는 등. 어쨌든 그는 민족의 그늘진 아픔을 본인의 아호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현시대에는, 아호가 관명(官名)인 이름보다 부르기 쉽고 친근감이 있어 기억하기 좋아야 하고, 예술가는 그에 걸 맞는 호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며, 문학가, 작가는 ‘필명’이라 하여 독자들에게 정감이 있는 아호가 좋을 것이다. 그리고 정치가와 사업가는 쉽게 기억되고 신뢰감을 주는 아호가 바람직하다.

아호는 성인이 되면서 누구나 가질 수 있지만, 직업이나 뜻을 같이하는 각종모임의 성격과, 개인이 추구하는 뜻에 맞추어 짓는 것이 좋을 것이며, 고상하면서도 흔하지 않아 본인이 자신감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어야하고, 서로간의 격의를 해소하기 위해서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아호가 근사하고 멋스러울 것이다. (문의 053-791-3166) 이재박 원장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