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1천여 개 읍·면 가운데 3분의 1에는 보육시설이 전혀 없는 등 농어촌 보육시설부족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부는 지난 9일 여성농민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농어촌 소규모 보육시설 확충 및 운영방안’ 연구 보고회를 열고 농어촌 보육시설 설치 현황, 운영실태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작년 6월 현재 농어촌 소재 보육시설은 모두 4천149개로, 이 가운데 250개(14.4%)는 국공립, 578개가 법인 보육시설이다. 그러나 농촌 지역 1천417개 읍·면 가운데 2개 읍과 474개 면에는 보육시설이 설치돼 있지 않다.

또 경북 의성군과 전남 화순군 3개면에 사는 아동 261명 대상 조사에서는 17%가 보육시설에 가기 위해 편도 1시간 이상 차를 탄다고 대답했고, 길게는 1시간30분을 차로 이동하는 아동도 있었다.

농어촌소재 보육시설 344곳에 대한 전화조사에서도 최장 2시간을 이동하는 사례가 확인됐다. 이들 기관 가운데 31.3%는 농어촌지역에서 시설을 운영하는데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재정문제를 꼽았고, 열악한 근무조건에 따라 보육교사 충원이 어려운 문제도 지적했다.

이번 연구를 용역받은 육아연구센터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육·상담·노인정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센터 형태의 농어촌 지역 복합시설 설치, 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국공립 보육시설 연계, 가정보육도우미 제도 시행 등을 제안했다.

육아연구센터는 보육만을 위한 센터 설립은 농어촌지역 아동수 등을 감안할 때 현실성이 낮은 만큼 국공립 형태로 복합시설을 설립,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또 시설 신축 등 초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미국, 캐나다의 사례처럼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보육기능을 추가하거나, 해당 지역에 사는 일정 학력 이상의 인력을 활용해 가정 등 일정한 장소에서 소수의 아동을 돌보게 하는 방안 등이 검토돼야 한다고 육아연구센터는 제안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