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전국 농산물도매시장에서 전면 시행되고 있는 무·배추 포장유통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찬반양론이 거세다.

무·배추 포장유통사업과 관련 우선 공영도매시장측은 “포장유통으로 인해 수취가가 상승하는 것은 물론 쓰레기량이 획기적으로 줄고 있다”고 긍정적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반면 출하자들은 “산지의 출하비 증가와 창고에서의 재작업 등으로 상품성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며 상반된 입장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무·배추 포장유통 사업은 지난 2006년 후반기 시험사업을 거쳐 올해부터 전국 32개 공영도매시장에서 전면 시행되고 있다.

대표적 공영도매시장인 가락시장의 경우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100% 포장화를 달성했다. 지난달 24일부터는 오염된 겉껍질과 뿌리를 제거하지 않은 저장배추의 반입도 금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 같은 공영도매시장의 밀어붙이기식 사업추진에 대해 산지유통인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산지유통인들의 포장유통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은 무엇보다 포장유통 과정에서 소요되는 추가비용 문제가 가장 크다.

산지유통 관계자에 따르면 “저장배추의 경우 노지에서 창고 저장까지 56만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한다. 또 창고에서 시장 출하를 위한 2차 작업에 40만원 정도의 비용이 추가된다”며 “여기에 거듭되는 작업으로 백대가리(겉잎 제거로 속만 남은 배추)가 발생하는 등 상품성마저 하락해 5톤 트럭 1대당 최소 100만원 이상의 추가비용을 고스란히 산지 농업인과 유통인들이 떠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또 “물류체계가 개선되면 하역비가 감소해야 하는데 현재는 산물로 들여올 때 4만8천원(5톤 트럭 기준) 하던 하역비가 오히려 파레트 사용에도 5만원으로 상승했다”며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산물 하역비가 표준화·기계화된 지게차 하역비보다 비싸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도대체 무엇을 위한 물류개선이고 유통 효율화인지 의구심만 앞선다”고 말했다.

당초 농림부와 공영도매시장은 무·배추 포장유통 사업의 기대효과로 ▲포장화·규격화를 통한 물류체계 개선 ▲소비지 유통의 투명화를 통한 농가 수취가격 상승 및 유통인 경쟁력 강화 ▲소비지 도매시장의 환경개선 도모 등을 내세웠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