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보고 박물관을 위해 태어난 사람 같다고 해요”


폭넓은 전시 체험으로 ‘평생교육기관’ 모델 제시

지역의 문화와 친숙해지는 박물관 되고 싶어…



상주박물관 전옥연(54)관장은 박물관을 위해 태어났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부산대박물관과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의 학예사와 학예연구실장 시절부터 ‘워커홀릭’으로 소문나 있는 일벌레다.
누구나 찾아와서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문화놀이터, 역사와 문화가 살아 있는 열린 마당으로 현대사회에서 박물관의 의미를 되살리는 상주박물관을 만들겠다는 그녀의 포부는 남다르다.

“상주박물관을 처음 방문했을때 시설은 뛰어나지만 접근성이나 문화적 컨텐츠 제공은 다른 지역보다 조금 어렵겠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먼저 지역주민들에게 더 친숙한 박물관을 만들기 위해 먼저 다가가 알리는 것이 첫 번째 과제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녀가 생각하는 현대사회에서 박물관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찾을 수 있는 평생교육기관이다. 박물관의 교육과 학습기능을 통해 사회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더 나아가서는 자연과 문화재, 생활이 어우러진 에코뮤지엄 형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본에서는 박물관이 생애학습기관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박물관 딱딱하고 어려운 곳이 아닙니다. 우리나라도 벽이 없는 박물관을 통해 정신적 친밀감과 문화 보급을 한다면 세계 어느 박물관 못지않은 역할을 할 것이라 자신합니다.”



이런 전 관장의 생각은 바로 행동으로 옮겨졌고 전통문화대학 수강생 모집을 비롯해 홍보사절단 위촉 자원봉사자 소양교육, 가족체험교실, 우복 정경세 소통을 말하다 특별기획전과 같은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마련하면서 지역주민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상주는 경주와 함께 머리글자를 따서 경상도라는 이름이 붙여질 정도로 옛날부터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 곳입니다. 내륙지역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여져 또 다른 문화를 생산했습니다. 이런 소통의 문화를 살리기 위해 많은 방안을 찾고 있는데 ‘박물관이 변화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을때 어느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보람을 느낍니다.”

특히 ‘우복 정경세, 소통을 말하다’ 특별기획전은 퇴계향의 본향인 영남에서 지역과 학문을 넘어 소통하고자 했던 정경세의 삶을 통해 상주 유학의 위상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 자리로 마련됐는데 우복 정경세는 17세기를 대표하는 유학자로, 상주시 청리면 율리에서 태어난 그는 서애 류성룡의 문인이다.
또 올해 더욱 친절한 서비스와 폭넓은 전시, 체험프로그램을 준비해 이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으로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친근한 박물관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있다.

“상주박물관을 도내 박물관을 대표하는 기관장으로서 매사에 활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임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얼마만큼 달라졌는지는 섣불리 말할 수 없지만 일단 변화의 바람은 불고 있는 것 같아 하루가 그리 길지 않게 느껴집니다.”

그녀는 항상 한번 더 고민한다. 상주박물관과 지역주민이 하나 돼 노력한다면 우리 역사 바로 알리기나 친근한 박물관 만들기가 더 이상 남의 이야기는 아니라는 것이 그녀의 생각이다.
또 지역주민들의 도움도 주문한다. “모든 사람이 공유하는 문화공간으로 박물관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도움이 절실합니다. 좋은 문화재가 있으면 알려주시고, 찾아주신다면 박물관이 발전하는데 자양분으로 삼아 더욱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상주박물관 관장실은 밤늦은 시간에도 환하게 불을 밝힌다. 지역 출신이 아니라는 우려도 여성이라는 걱정도 한 순간에 사라지게 하는 든든함이 바로 여기에 있다.
전화 : 054-537-6750
홈페이지 : http://museum.sangju.go.kr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