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는 고속도로 위의 귀성행렬 차량과 귀경차량 행렬을 시차를 둬 비춰주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소요시간을 들려주는 판에 박힌 추석뉴스도 끝났다.

왜 사람들은 명절이 되면 귀소본능이 발동되는 것일까? 고향이라는 말이 가져다주는 애잔한 그리움이나 어머니 품 같다는 작위적 향수가 마음을 이끄는 힘일 수 있다. 그러나 뭐라 해도 오랜 동안 잊고 살았던 그리운 사람들을 만나는 기쁨이 제일일 것이다.

문제는 그런 기쁨을 남성들만 독점하는 명절 풍속도에 있다. 온종일 발 동동 구르며 음식 차리고 뒤치다꺼리를 해야 하는 여성들에게 명절은 즐거움이 아니라 스트레스의 결정판이다. 며느리들이 명절 때 시어머니에게 가장 듣기 싫은 말 중 1위가 “더 있다 가라”라는 통계도 나온 걸 봐서 한시라도 시댁을 벗어나고 싶은 며느리들의 심정을 헤아릴 수 있다.

시댁과 친정으로 구분되는 한국사회의 현실에서 이론적인 가사노동의 분담은 늘 공염불로 끝나기가 쉽다. 집안 어른들에 대한 눈치나 시댁이라는 부담감 등이 부부사이로만 해결치 못하는 요소들이 있기 때문이다.

남성이나 여성이나 동일한 즐거움을 누려야 명절의 진정한 의미와 맞아떨어진다. 이른바 ‘명절 증후군’이라는 신종 병명이 나타날 정도라면 차라리 명절이 없었으면 좋겠다는 푸념이 십분 이해가 된다.

그리운 사람들을 만나는 기쁨이 배가되기 위해서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환대가 있어야 한다. 진심이 가득한 상차림에는 가사노동의 피로도 시댁식구들에 대한 인간적 스트레스도 머물 자리가 없다. 여성들도 명절이 즐겁고 기다려지는 행사가 되기 위해서라도 가족 구성원 모두가 한마음이 돼야 하는 당위성이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