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수년간 농축산물 유통비용을 줄이기 위한 유통구조개선에 매년 많은 돈을 쏟아 붓지만 복잡한 유통구조는 전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현 정부 출범 초기에도 농축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의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여전히 미흡하기는 마찬가지다. 개방화 시대를 맞은 우리 농·축산업은 지금 나날이 위축되고 있다. 그나마 우리 농·축산물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유통단계 축소를 통한 유통혁신이 선결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 농산물의 유통구조를 보면 생산자-산지 집하자-중도매인-중매업자-소매업자-소비자의 단계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생산자에서 소비자까지 거치는 과정이 6~7단계로 많다보니 평균 유통마진이 50%가 넘는다.

복잡한 유통구조로 인해 생산자는 수취가격이 작아지고 소비자는 비싼 가격에 사먹어야 하는 잘못된 유통관행이 계속되고 있다. 역대 정부는 출범할 때마다 유통체제 정비와 구조개선에 중점을 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복잡한 유통단계는 전혀 개선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양파생산 농가에서 2kg 한망을 1천원을 받고 넘기면 산지유통단계를 거쳐 소매상까지 과정에서 4000원 까지 올라간다.
이렇다 보니 생산농가는 아무리 싼 가격에 공급을 해도 소비자는 4~5배 비싼 가격을 내고 사 먹을 수밖에 없다. 최근 농수산식품공사가 34개 농산물가격을 분석한 결과 유통비용이 평균 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 배추, 양파, 고구마 등은 60%가 넘었다. 축산물 또한 더 복잡한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도매가격이 하락해도 소비자 가격은  전혀 움직이지 않고 가격 하락 분은 모두 유통업자들만 이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복잡한 농·축산물 유통구조를 생산자인 농업인이나 소비자가 해결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역부족이다. 도시에서는 채소 값이 폭등해도 농업인의 수입은 나아지지 않고 소 값이 폭락해도 쇠고기 값은 떨어지지 않는다. 현재 복잡한 유통구조 6~7단계를 3~4단계로 통폐합해 단순화 하는 작업에 정부가 박차를 가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정책과 제도가 있어도 적응하지 못하면 허사다. 유통구조개선은 끈질긴 의지와 실천이 관건이다. 농업인은 제값을 받고 농산물을 팔게 하고 소비자는 값싼 농산물을 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유통혁신이야 말로 개방화시대 우리 농업의 경쟁력이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