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경제가 갈수록 팍팍해지면서 농가인구의 감소세도 빨라지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통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인구는 256만9천명으로 2014년 275만2천명 보다 6.6%, 18만3천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5년간의 농가 인구 감소폭 약 3%, 7~8만명대 보다 배 이상 크게 늘어난 것으로 농가인구의 감소폭은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농가인구의 감소폭이 커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가장 큰 요인은 농가소득이 갈수록 줄어들기 때문이다.

농가소득은 최근 도시 근로자 소득의 60% 수준에도 못 미치면서 농촌에 살면서도 농업자체를 포기하고 다른 일을 택하는 농가들이 늘고 있다.

 물론, 농가인구의 감소는 농촌의 노령화로 인한 자연감소도 하나의 큰 요인이지만 농가인구가 빠르게 줄고 있는 가장 큰 요인은 농가 소득감소가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최근 시장개방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농산물에 대한 가격불안정이 심해지면서 농가에서는 작목 선택에도 애로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최근 자주 나타나는 기후변화로 인해 영농비 증가는  농사를 지어 수지 타산을 맞추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농산물에 대한 가격불안정은 농가소득에 가장 큰 위험요소가 되고 있다. 농가에 대한 안정적인 소득보장대책이 없으면 위축되고 있는 농업·농촌을 지켜 나갈 수 없다. 수입산 농산물에 우리 농업·농촌을 송두리째 내줄 수는 없지 않는가?

농업·농촌의 피폐화는 결국 지역사회의 공동화를 초래하고 국토의 황폐화로 연결된다. 세계화된 개방경제에서 국내 농업은 시장기능에 의한 수급조절이나 가격의 경쟁력만으로는 우리 농업·농촌을 지켜가기에는 한계가 있다.  농업·농촌을 보호하고 농가의 소득유지와 안정을 위해서는 기초농산물에 대한 최저 가격지지정책이 필요하다. 기초농산물에 대한 가격지지정책은 지속적인 농업생산과 농업·농촌을 공동화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정책결정자는 우리 농업·농촌을 단순히 산업적 의미로 접근하기 보다는 우리 농업·농촌에 대한 본질적인 가치로 접근하는 농정철학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