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곳은 물 폭탄으로 울고 한곳은 가뭄으로 목말라 한다. 기후 변화에 따른 국내 농업의 위기 두고만 볼 일인가. 최근 한반도 주변의 기후 변화로 인해 국내농업은 지금 가장 큰 시련을 겪고 있다. 날씨가 한해 농사를 좌우 한다는 말과 같이, 기후 변화에 따른 날씨 변동은  농업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계속된 가뭄으로 인해 모내기를 하지 못해 벼농사를 포기한 면적이 수천ha가 되고, 가뭄으로 인해 싹을 띄우지 못해 아예 밭농사를 포기한 농가도 수천가구나 된다.

이렇듯 가뭄으로 인해 농가들의 피해는 심각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 제대로 된 피해 상황조차 파악 못하고 있다.  또 최근, 장마가 시작되면서 국지성 폭우로 인한 물 폭탄으로 경기와 충북 강원도 일부지역 시설농가의 경우 하우스 수백동이 물에 잠기고, 농경기 수천ha가 침수되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처럼, 가뭄과 국지성 폭우가 되풀이 되면서 국내 농가들의 피해는 해가 갈수록 더욱 커지고 있다.  물론,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는 불가항력적인 요소가 있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인해  매년 되풀이 되는 이 같은 피해를 보고만 있어야 할 일은 아니다.

한반도 주변의 기후변화는 지구의 평균 기후변화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른 가뭄과 국지성 폭우는 지금보다 더 빈번히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많은 전문가들이 기후변화에 따른 대책마련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나 대안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유럽 선진국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에 대한 법제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세밀하게 다루고 있다.

하지만, 우리정부는 지금까지 기후변화에 따른 대책은 고작 온난화에 따른 지역별 작부체계의 변경 등 영농 기술적 부문에 한정되어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는 계절과 관계없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에 대응, 다양한 분야에 법제화를 통해 자국의 농업 피해를 보호하고 있다. 우리정부도 국내농업이 기후변화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 적응 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시스템 개발과 더불어 피해 보전책도 마련해야 한다. 국회 또한, 기후변화에 대응한 법제화를 통해 국가 차원의 장기적인 대응 방안 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