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자급률 9.9% 목표…수매비축제 부활, 품질등급제 도입

정부가 밀 자급률을 올리기 위해 수매비축제를 부활시키고, 품질등급제를 도입한다.  통밀의 껍질을 일부 벗겨내 잡곡밥처럼 먹는 ‘밀쌀’의 보급도 강화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국산 밀의 자급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국산 밀 품질 제고와 수요 확대에 중점을 둔 ‘밀산업 중장기 발전대책’을 마련, 지난달 26일 발표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밀은 지난해 1인 연간 소비량이 32.4㎏에 이르는 등 쌀 다음을 차지하는 제2의 주식이지만, 자급률은 1.7%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식량안보 차원에서 일정 수준의 자급 기반을 갖출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했다.우선 지난해 3만7천톤이었던 밀 생산량을 2022년 21만톤으로 늘리고, 자급률 역시 9.9%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22억5천만원을 들여 민간 주도 ‘국산 밀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빵과 중화면 등에 적합한 국내 환경 적응 경질밀 유전자원을 5개 이상 개발할 계획이다.

또 균일한 품질을 위해 정부 보급종 공급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생산자단체를 통해 공급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기존 쌀을 중심으로 지원되던 ‘들녘경영체육성사업’을 밀·콩·감자 등 밭 식량 작물로까지 확대하고, 올해 36억5천만원을 투입해 교육·컨설팅, 농기계, 장비, 저장·건조·정선·가공시설 등을 지원한다.

전남과 전북 등 밀 주산지에 ‘지역 단위 밀 생산-가공, 유통-소비 모델’을 만들어 확산시킬 계획이다. 특히 우리 밀 품질을 높이기 위해 단백질 수준, 품종 순도 등을 고려한 밀 품질등급 규격을 새로 만들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밀은 가공·이용 시 품질 균일성이 중요하지만, 기존 농산물 검사 규격에는 밀가루 가곡적성 품질 등이 고려되지 않았다”며 “품질 등급제가 신설되면 국산 밀 품질 관리가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와 함께 2020년부터 국산 밀 이용하는 음식점에 대한 인증제 도입을 추진하고, 농협 하나로마트에 국산 밀을 활용한 PB 제품을 들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또 올해부터 ‘밀쌀’의 군납을 추진하고, 밀쌀 급식 시범학교도 현재 서울·경기권에서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1984년 폐지된 ‘밀 수매비축제’를 35년 만에 되살려 국산 밀 수요 기반을 다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100억원을 투입해 국내 생산량의 27% 수준인 1만톤가량을 사들일 계획이다.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용도별 고품질 밀을 수매하되, 수매 품종을 제한하고 품질등급별로 10〜20% 이상 가격에 차등을 두어 고품질 밀 생산을 유도하고, 수매된 밀은 군, 학교급식, 가공업체 등 신규 대량 수요처에 할인 공급할 계획이다.

또 농협이 주류협회와 보리 위주로 맺은 주정용 계약 물량에 밀을 추가하는 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밀 농작물재해보험 대상 지역을 2020년까지 확대하고, 밀산업 관련 제도를 뒷받침할 ‘밀 산업육성법’을 제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