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농가에서 많이 재배 생산되고 있는 마늘, 양파, 감자, 무 등 주요 채소류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재배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수확기 채소류 물량이 늘어나면서 지난해에 비해 평균 채소류가격이 20-30% 하락, 재배농가들이 가격안정화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양파의 경우 지난해 20kg 기준 평균 1만 4천원에 거래되었으나 올해는 20kg 기준 1만 1천원에 거래되고 있어 평균 20%이상 가격이 하락했다.

 마늘 역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깐 마늘의 경우 지난해 20kg 기준 평균 13만원선에 거래가 이뤄 졌으나 최근에는 10만 8천원에 거래가 이뤄져 15% 이상 가격이 하락했다. 감자와 무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격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최근 채소류 가격이 하락하자 정부는 지난주 관련전문가를 중심으로 하는 채소 산업 발전 기획단(TF)팀을 구성 운영키로 하고 과잉농산물에 대해서는 시장 격리를 통해 수급안정화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최근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채소류의 경우 대부분이 국내 중·소규모 일반 농가에서 생산 재배되고 있는 농산물이다.

이처럼, 채소류 가격의 하락은 가뜩이나 어려움에 놓여 있는 중·소농가 경제에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채소류의 경우는 시장에서 가격변동성 크기 때문에 농업인의 경영안전망 차원에서도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하루빨리 과잉물량에 대한 시장격리와 더불어, 채소류 품목에 대한 최저가격 보장 제도를 도입 해 나가야 한다.

 가격 변동성이 큰 농산물의 경우 가격보장제도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유용할 뿐 아니라 정부 또한 적정 가격지지를 통해 생산과 소비량을 예측 조절 할 수 있는 긍정적인 기능도 있다. 지금 국내 농산물 시장은 점점 축소되고 있고 수급계획 또한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구조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품목별 생산량에 대한 면밀한 파악과 대응책이 강구 되어야 한다.

아울러, 어려움에 놓여있는 국내 중·소농가 보호차원에서도 정부가 내년부터 시행키로 한 공익직불금 제도와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 제도를 하루빨리 제도화 해 나가야 한다. 지금 국내 농가의 80% 이상이 중·소 고령 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업·농촌이 그나마 유지되고 있는 것은 중·소규모 농가들이 자리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농업·농촌을 지속유지 발전하기 위해서도 정부는 중·소 고령농가에 대한 최소한의 소득보장정책을 제도화 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