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순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 정책부회장

부부·젊은 후계농도 축협 조합원 가입할 수 있어야
한여농 조직 발전 위한 기반 조성 마련에도 힘쓸 것

 

 

“여성농업인의 지위가 많이 향상됐지만, 가야 할 길은 여전히 많이 남아있습니다. 여성농업인의 권익향상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여성농업인 정책을 발굴하고 정부에 끊임없이 건의할 것입니다.”


김명순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 정책부회장은 경기도 평택시에서 젖소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녀는 100여마리의 젖소를 사육하면서도 여성농업인들의 권익을 위해서라면 항상 앞장서왔다. ‘두드려라 그러면 열릴 것이다’라는 신조를 갖고 지속적으로 여성농업인 정책을 건의하며 여성농업인이 살기 좋은 농촌을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특히 그녀는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 제12대 정책부회장을 역임한데 이어 올해부터 임기가 시작되는 제13대에도 정책부회장을 맡아 여성농업인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발굴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농·축협에 여성이 설 자리 많아져야

김명순 부회장은 지난 1986년에 여성후계자로 선정됐다. 후계자 자금으로 젖소 두 마리를 구입해 현재 100여마리를 키우고 있다.


남편은 직장생활을 하고 있어 대부분의 농장일은 김명순 부회장이 도맡아왔다. 홀로 농장을 운영하는 일이 쉬운 것은 아니었지만, 몸이 힘든 것보다 더욱 그녀를 더 힘들게 했던 것은 농장의 대표가 ‘여성’이라는 이유로 받는 차별이었다.


“지금은 여성농업인의 위상이 많이 높아졌지만 30여년 전에는 매우 낮고, 여성들이 활동을 활발히 하던 시절도 아니었어요. 그래서 농장의 대표가 ‘여성’이라는 것 때문에 정책자금이나 각종 사업을 받는 것이 쉽지가 않았죠. 또 이런 불합리한 점들을 하소연하고 개선하고 싶어도 여성농업인들의 목소리를 건의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돼있지 않아 더욱 힘들었습니다.”


특히 김명순 부회장은 여성이 설 자리가 없다는 것에 큰 아쉬움을 느꼈다. 축협 조합원으로 가입하고 싶어도 세대 내 복수 조합원 가입이 불가능해 남편이 조합원으로 가입돼 있으면 여성이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가 없었다. 여성은 축협 조합원을 선망해야만 했다.


“축산에도 여성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어요. 여성들도 조합원이 돼서 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조합원 가입을 부부가 같이 가입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이뤄졌으면 합니다.”

 

젊은 후계농 육성 위한 제도개선도 필요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했던가. 몇 년 전 부부가 함께 조합원에 가입할 수 있도록 잠깐의 특혜를 줘서 김명순 부회장도 조합원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여전히 가야 할 길은 멀다고 말한다. 김명순 부회장은 농업·농촌, 축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미래 농업후계자 양성에 힘써야 하며, 이를 위해 축협에서 후계자들의 조합가입을 허용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여성이 축협의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없는 이유와 마찬가지로 후계자들도 똑같은 이유로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가 없다. 즉, 부모가 조합원으로 가입돼 있으면 부모가 돌아가시거나 조합자격을 물려주지 않는 이상 가입할 수가 없는 것이다.


“축산업의 경우 부모와 함께 농장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세대 내 한 명만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있어 후계자인 자녀들은 조합가입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젊은 후계농들이 조합에 가입해 활동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여성농업인 권익향상 위해 앞장

현재 평택축협 여성대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명순 부회장은 축산분야에서의 여성농업인 지위 향상을 위해 여성이사에 도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한 올해부터 2년간 한여농중앙연합회 정책부회장직을 수행하며 여성농업인의 권익향상을 위해서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우선 정책부회장으로서 중앙회장을 잘 보좌하고, 여성농업인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고 관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저의 임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한여농이 더욱 튼튼한 조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기반 조성 마련에도 힘쓸 것입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