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공단, 대다수 유방암 관련

통통 붓는 증상을 보이는‘림프부종’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50대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림프부종’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16년 1만8,882명에서 2020년 2만8,109명으로 9,277명이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2016년 4,726명에서 2020년 7,063명으로 49.4%(2,337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1만4,156명에서 2020년 2만1,046명으로 48.7%(6,890명) 증가했다.


2020년 기준 ‘림프부종’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만8,109명) 중 60대가 21.1%(5,917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0.3%(5,714명), 70대가 17.2%(4,82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70대 25.7%, 60대 21.2%, 80대 이상 19.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2.5%로 가장 높았고, 60대 및 40대 각각 21.0%, 18.9%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성형외과 송준호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여성의 경우 유방암 환자의 림프부종이 대다수를 차지한다”며 “유방암 수술을 받은 환자 중에 약 절반정도가 림프부종을 진단받으며, 이중 2/3가 수술 후 3년 이내에 나타난 조기 발병 림프부종환자라는 통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송 교수는“유방암 발생 연령이 40~50대가 많기 때문에 이들 연령대의 여성 유방암 환자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성형외과 송준호 교수는‘림프부종’의 발생 원인 및 주요 증상, 예방법 등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림프부종’ 발생 원인

림프부종이란 림프가 사이질(세포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많이 고이는 만성질환이다.
2차성 림프부종의 경우, 수술 후 림프절 절제를 하는 경우 서혜부나 대퇴부 또는 어깨주변 및 팔에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암자체가 림프계 흐름을 방해해서 발생하거나, 감염이나 외상인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선천적인 림프부종의 경우, 림프계의 기능이 저하되어 팔이나 다리의 경미한 상처나 감염으로도 림프부종이 유발될 수 있다. 

‘림프부종’ 주요 증상

대표적인 증상이 함요부종(pitting edema)으로 피부 위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수초후에 사라지는 함몰이 발생하게 된다. 주로 림프부종 초기에 생기며 말기 단계에서는 딱딱한 부종인 비함요부종이 발생한다. 그 외에도 쿡쿡 쑤시는 통증, 열감, 피부 발적 및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림프부종’ 예방법 

부종 부위에 상처가 생기지 않게 조심하며 이 부위에 주사나 채혈, 혈압측정을 피하도록 한다. 비만이 위험요인이기 때문에 체중관리가 필요하고 뜨거운 사우나는 피하도록 하며 압박용 스타킹을 착용하도록 한다. 

‘림프부종’ 치료하지 않으면?

단백질과 지방이 함유된 체액이 저류되어 축적되면 피부 섬유화가 되어 점점 피부가 두꺼워지고 단단해진다. 이로 인해 림프부종이 발생한 부위는 감염에 취약하며 연부조직 감염, 림프관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하면 연부조직 괴사까지 초래될 수 있다.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부종부위의 기능감소, 근력약화, 감염, 피부병, 통증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수반하게 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