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나 영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만성위염과 소화성궤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위암과의 관계에 대해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는 1992년부터 1998년 동안 병원을 내원한 1,7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9.4년 장기 추적 결과, 위암이 발생한 5명의 환자는 모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이중 4명(80%)은 장상피화생 소견을 보였다고 밝혔다.(장상피화생이란 정상적인 위점막세포가 염증으로 소실된 후 대장이나 소장 점막세포인 장세포로 대체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920명을 대상으로 장상피화생 존재 유무에 따른 위암 발생률을 8.6년 조사한 결과, 장상피화생이 없었던 경우(10만명당 17.2명 비율)보다 장상피화생이 있는 군에서의 위암 발생률(10만명당 187.4명의 비율)이 10.9배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따라서 김나영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서 장상피화생이 위암 발생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증명하였다.
또한 김교수팀은 위암이나 소화성궤양이 없는 정상인 389명을 대상으로 연령대별 장상피화생의 유병률 및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를 동시에 시행했다.

그 결과 389명 중 30대에서 장상피화생 양성률은 11.3%로 나타났으며, 70세 이상에서는 42.9%의 양성률을 보였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군과 비감염군에서의 장상피화생 유무를 비교한 결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비감염군은 40대에서는 9.7%의 양성률을 보이다가 70세 이상에서는 30%를 보인 반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군은 30대에 이미 21.1%의 높은 양성률을 보였으며 70세 이상에서는 50%의 양성률을 보임으로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여부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김교수팀은 장상피화생을 유발하는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여부, 숙주인자 및 환경인자 등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 결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장상피화생의 가장 큰 위험인자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군은 비감염군에 비해 8.2배의 위험률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흡연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3.5배, 매운 음식을 즐기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 비해 2.4배 위험률을 나타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김나영 교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흡연, 매운 음식에 의해 장상피화생 소견이 발생하면 이후 위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