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증상 없거나 비특이적 증상 주로 호소
B형간염 예방접종, 생활습관 개선 통해 예방해야

 

 

간암 중 가장 일반적인 유형인‘간세포암’환자가 5년새 약 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는 남녀 모두 60대가 가장 많았다.


지난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최근 5년(2017~2021년) 간세포암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간세포암의 진료인원은 2017년 5만9,040명에서 지난해 6만4,525명으로 9.3%(5,485명) 증가했다. 연평균 2.2% 증가한 셈이다.


지난해 간세포암 진료인원은 전체 간암 진료 인원(8만853명) 중 79.8%를 차지했다. 간암 중 간세포암이 가장 흔했고, 간내담관암이 12.9%로 뒤를 이었다.


간세포암은 지난해 기준 남성 환자가 77%(4만9천677명)로 여성(23%·1만4천848명)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전체 6만4,525명 중 60대가 2만3,710명(36.7%)로 가장 많았다. 


60대 중에서도 특히 남성 환자(1만9천34명)가 많아 전체 환자의 29.5%를 차지했다. 간세포암 환자 10명 중 3명꼴로 60대 남성인 셈이다. 60대 여성은 4천676명으로, 여성 환자 중에서 31.5%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최종원 교수는‘간세포암’발생 원인 및 주요 증상, 예방법 등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간세포암 발생 원인 = 간세포암은 간에 생기는 원발성 간암 중에서 간세포에서 기원하는 암을 말한다. 간세포암의 주요 발생 원인으로는 간염 바이러스 감염,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이 알려져 있다.


간염 바이러스 감염은 B형,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간경변증, 간세포암이 발생하는 것으로, 전체 간세포암 발생의 75~80%가 이 두 가지 바이러스가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간경변증은 간경변증 발생의 원인에 관계없이 간세포암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간경변증 환자 중 간세포암 연간 발생률은 1~6% 정도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이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도 간경변증, 간세포암을 일으킬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 주요 증상 = 간세포암의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며 초기에는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식욕부진, 체중감소, 복통, 소화장애, 복부 팽만감 등 비 특이적인 증상을 주로 호소하여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가 어렵다. 뚜렷한 증상이 나타났다면 대부분 이미 병기가 진행된 경우다. 


간세포암이 진행되면 간이 비대해지면서 복부에서 만져지기도 하고, 간 기능이 나빠지면서 복수가 차거나 황달이 생길 수 있다. 간혹 간 표면에 위치해 있는 간세포암종에서 대량 출혈이 일어나 배가 갑자기 심하게 불러오면서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쇼크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

 

■ 예방법 = 간세포암은 만성 간질환과 연관돼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B형,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주요 원인이므로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면 간세포암의 발생을 예방할 수가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은 모자감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출산 시의 관리가 중요하며 출산 이후에도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접종을 시행한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아직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불결한 침이나 주사바늘 등 전파경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음주습관, 식습관,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서 알코올성 간질환이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더 나아가 간세포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 환자가 갖고 있는 간염, 간경변증 등의 기저질환과 암의 진행 정도, 남아있는 간 기능을 평가해 적합한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근치적 치료(종양의 제거 및 완치를 노리는 치료)로 간절제술, 간이식술, 고주파 열치료술, 에탄올 주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진행된 병기에서는 비근치적 치료(종양의 진행을 막고 크기를 줄이며 근치적 치료 기회를 생성)인 간동맥 색전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간세포암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간세포암의 진행과 간 기능 악화로 인해 복수, 황달,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