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포럼서 성별 임금격차 해소 방안 모색
“ESG 지표 연계 임금격차 정보 공시…임금투명화해야” 주장도

성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국제기구와 정부, 그리고 민간 기업들이 함께 제도적·문화적 노력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됐다. 특히 환경·사회·거버넌스(ESG) 지표와의 연계를 통해 임금 격차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는 지난달 24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성별 임금 격차 해소와 여성의 경제적 역량강화 논의’를 주제로 정책포럼을 열었다.

이번 정책포럼에는 유엔여성기구(UN Women), 국제노동기구(IL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 소속 전문가와 외교계·학계·산업계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여해 성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에 대해 심도깊게 토의했다.

지난해 ILO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인 성별 임금 격차는 20%로 측정됐으며 OECD 회원국의 평균 임금 격차는 11.9%로 집계됐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성별 임금 격차(31.1%)가 가장 큰 국가다.

이날 포럼 기조연설자로 나선 염유식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에서의 성별 임극격차는 최근 악화하고 있으며, 직종 간 격차보다 직종 내 격차가 더 크다” 며 “한국에서 직종이 다른 데 따라 발생하는 남녀 간 임금격차는 한 달에 20~30만 원 내외지만, 같은 직종 내 남녀 간 임금격차는 한 달에 100만 원 가까이 벌어진다. 남녀 승진의 차이에 따라 벌어지는 같은 직종 내 임금격차가 크기 때문” 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염 교수는 “최근 10년간 한국에서 패미니즘 및 성평등이 뜨거운 이슈로 부상했지만 남녀 간 임극격차는 오히려 최근 3~5년 사이 악화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성별 임금격차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나 팔스 유엔여성기구 여성역량강화원칙 사무국장은 “여성은 자녀와 노인, 환자 등을 돌보는 책임을 맡고 있어 이로 인한 경력단절과 은퇴 이후를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며 “이로 인해 고령 여성의 빈곤율은 고령 남성보다 높아지게 된다” 면서 동일한 노동에 대해 동일한 보수를 지불하는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력요청했다.

ESG 지표와 연계해 성별 임금 격차를 공시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김혜진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ESG 경영은 조직 내 성별 임금 격차와 여성 참여에 대한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매커니즘을 통해 임금 격차를 줄이고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며 ESG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임금 투명화’를 제시했다.

김 교수는 “전세계적으로 임금 투명화에 대한 흐름이 있고 하나의 중요한 트렌드가 돼가고 있다” 면서 “대기업 중심으로 이뤄지는 ESG 경영을 저임금 여성 근로자들이 많이 일하는 중소협력업체로 확산시켜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이정심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소장은 “2023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발표 이후 남녀간 임금 격차 문제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임금 격차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와 높은 교육 수준만으로는 해소될 수 없는 구조적 문제에 기반한 것이므로 정부와 국제기구, 기업이 함께 제도적·문화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