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정책연구원, 국민 3천명 설문 결과
남녀 70% 이상 “양성평등정책 강화해야”

여성 유권자 절반 이상은 향후 선거에서 여성정책을 고려해 투표하겠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동일한 인식을 가진 남성은 3명 중 1명에 그쳤다. 이러한 간극은 20대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난 23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여성 유권자의 세대별 투표행태 변화와 정책 투표에 관한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2022년 잇달아 치러진 제20대 대선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투표권을 가졌던 여성 1천474명과 남성 1천526명 등 총 3천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향후 선거에서 여성정책을 고려해 투표하겠다’고 답한 여성의 비율은 52.7%로 집계됐다.‘매우 많이 고려할 것’(9.3%)과‘어느 정도 고려할 것’(43.4%)을 더한 결과다.

같은 항목에서 남성은 34.0%로, 여성보다 18.7%포인트 낮았다.‘매우 많이 고려할 것’(3.9%)과‘어느 정도 고려할 것’(30.1%)을 더한 결과다. 이러한 차이는 젊을수록 뚜렷했다. 연령별·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정책을 고려해 투표하겠다는 20대 여성의 비율(53.9%)은 동년배 남성(22.4%)보다 30%포인트 이상 높았다. 30대 역시 여성(56.2%)은 남성(29.3%)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이에 비해 해당 항목에 긍정적으로 답한 60대 남성은 47.3%로, 같은 연령대의 여성(51.2%)과 엇비슷한 수준이었다.

가장 필요한 여성정책을 묻는 항목에 여성은 ‘여성 폭력 예방 근절과 피해자 보호’(87.4%·복수응답)를, 남성은‘영유아 및 아동 돌봄의 국가 책임 강화’(79.0%)를 꼽았다.

2030여성은 정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 당원으로 정당 활동을 가장 많이 벌인 연령대의 경우 여성은 20대(7.3%), 남성은 30대(14.4%)다.

시위에 가장 많이 참여한 여성의 연령대는 20대 10.6%, 30대 10.0%였다. 남성은 40대 16.5%, 50대 15.2%다.

한편 지난 대선에서 후보를 결정하는 데 가족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한 909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존재로‘배우자’를 꼽았다. 여성(54.5%)이 남성(44.9%)보다 약 10%포인트 더 높았다.

지난 대선 기간에 가장 기억에 남는 여성정책·공약을 묻는 항목에 50.5%(여성 55.7%·남성 45.4%)가‘없거나 모른다’고 답했다. 이어 여성가족부 폐지가 32.7%(여성 24.4%·남성 40.8%)였다. 아울러 양성평등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 비율은 여성 78.1%, 남성 70.5%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여성보다 덜하지만 성평등에 동의하는 남성이 존재한다는 점과‘공직 후보자는 양성평등 의식과 정책에 관심이 높아야 한다’는 남녀 유권자의 반응을 확인했다”며“이는 더이상 선거에서 젠더를 대립 이슈로 가져가서는 안 된다는 유권자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 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