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 3천여명 방문

지난 21일 오전 10시 농촌진흥청의 ‘함께하는 농업기술박람회’가 열린 서울 양재동 aT센터. 박람회장은 이미 전국에서 몰려든 농업인들로 가득 차 입추의 여지가 없었다.
농진청은 박람회의 전시·상담관을 차지한 40개 지역특화사업단의 회원농가들과 박람회 소식을 듣고 찾아온 일반 농업인들을 포함, 모두 3천여명이 박람회를 방문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이날 aT센터 1층 전시관에는 특화품목농업기술상담관 26개 코너가 마련됐다. 40개 특화사업단 가운데 35개 사업단이 특화품목의 재배생산, 가공, 유통, 경영, 판매, 수출전략 등과 관련한 현장애로기술을 상담해 주었다.

방문객들은 특화사업단과 농진청 산하 연구기관이 개발한 농업기술 성과를 소개하는 홍보물을 빠짐없이 챙기는 모습이었다. 또 상담관을 찾아 궁금한 농업기술을 묻기도 하고 기술상담희망서를 작성해 상담요원에게 제출하기도 했다. 현장상담으로 해결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관련 전문가가 추후에 자료를 보내주거나 직접 농가를 방문해 해결해주겠다는 약속 때문이다.

또 4개의 특별상담관이 마련돼 ▲농축산물 저장·이용기술 ▲농촌어메니티 및 농촌관광 운영 ▲벤처농업 성공사례 및 창업 ▲농진청 개발 우수기술 전시 및 이전 등에 대해 상담해주었다.
특히 행사장 입구에 농산물이용연구회가 마련한 기능성쌀, 버섯 등 농산물 가공식품 전시관은 농업인들의 눈길을 끌었다.

“성공 가능성 확인 계기되길”

이날 농촌진흥청 김인식 청장은 박람회 현장을 둘러보고 “지역특화사업을 추진해 온 농업인, 대학교수, 관련 업계, 농촌진흥가족에 감사한다”고 치하하고 “박람회를 통해 평소 느꼈던 현장애로기술과 새로운 농업기술을 상담, 해결하는 귀중한 자리가 되고, 전문가와 농업인이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교류의 장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김 청장은 “특화사업단이 지원한 기술을 현장에 접목하면 반드시 성공한다는 자신감을 주었다는 것이 큰 성과”라며 특화사업단 사업성과를 평가하고 “올해부터 2단계 특화사업단 사업을 추진하는데, 지역특화품목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가공·유통·마케팅 분야 기술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청장은 아울러 “이번 박람회는 특화사업단의 지난 3년을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자리”라면서 “특화사업단 사업이 한미FTA 등으로 위기에 처한 농업인들에 도움이 되고, 성공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특화품목 발전전략 심포지엄>

“특화사업단 1천100억원 경제효과 거둬”

농진청 연구개발국 나승용 국장은 aT센터 3층 중회의실에서 열린 ‘특화품목 발전전략 심포지엄’에서 “40개 특화사업단의 사업성과는 지난해 모두 1천100억원의 경제 효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나 국장에 따르면 생산성 향상 기술지원으로 480억원의 소득을 올렸고, 브랜드화·상품화 개발 등 고부가가치 제고로 254억원, 신품종 보급에 따른 52억원의 수입대체 효과와 수출소득 36억원, 기타 278억원 등 모두 1,100억원 경제 효과를 올렸다.

그러나 나 국장은 지난 3년간 추진한 특화사업단 사업의 문제로 특화사업단의 컨설팅 비중이 생산기술 지원에 지나치게 집중됐고, 농업현장과 다소 동떨어진 기술을 지원하거나, 일부 특화사업단의 경우 특화겸임연구관들의 역할분담이 뚜렷하지 않아 사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나 국장은 “사업성과를 지속시키기 위해 올해부터 2단계 사업을 추진, 지역별 특화품목의 산업화기술을 보급하는데 집중 지원키로 했다”면서 “생산분야 보다 가공, 유통, 마케팅, 산업디자인 등 전문인력을 보강하고, 품목연구회, 영농조합법인 등으로 사업대상을 규모화 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나 국장은 또 “특화품목을 농촌체험행사 등 농촌관광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등 지역 특화품목이 경쟁력 있고 돈벌이가 되는 품목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심포지엄 토론자로 나선 장수군농업기술센터 서병선 과장은 “40개 특화사업단의 겸임연구관 가운데 행정공무원은 고작 18명 뿐인 실정으로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하고 “특화사업단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농림부의 클러스터사업 등 타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조직화하고 지원정책을 집중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강원대 송영한 교수는 “기술지원 컨설턴트(겸임연구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컨설턴트 능력을 인증하는 기준과 공인기관이 필요하다”면서 “유능한 컨설턴트를 다른 지역 특화사업단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사업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청중질의를 통해 홍성군농업기술센터 구연회 소장은 “특화사업이 너무 지역 중심으로 추진하다보니 사업효과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며 “도 단위 또는 전국 단위의 클러스터 사업으로 확대 발전시키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