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신임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농특위) 위원장이 취임 후 농식품부 장관과 처음 만났다. 이 자리에서 농식품부 장관은 농특위의 책임이 막중하다며 “농업계가 직면한 현안 해결에 농특위가 주도적 역할을 하면 농식품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신임 농특위원장은 “다양한 행정 경험을 활용해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깊이 고민하고, 대통령 직속 자문회의의 장점을 살려 농업·농촌 발전에 적극 기여하겠다” 는 뜻을 밝혔다. 그동안 농특위 후임 위원장 인선이 늦어지면서 농업계에서는 현 정부의‘농업홀대론’이 제기됐었다. 존치가 확정된 대부분의 위원회가 위원장 선임과 분과위원 위촉이 순조롭게 진행되는데 비해 농특위는 위원장 선임이 3개월 넘게 지연됐기 때문이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는 최근 신임 농특위원장 인선 환영의 뜻과 함께“농업현장이 농특위에 바라는 것은 농업·농촌 정책 전환을 위해 대통령 직속으로서 국민적 소통과 합의를 이끌어내 주는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농업·농촌의 목소리를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하는 자리를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도 제시했다. 일단 신임 농특위원장의 인선에 대한 농업계의 분위기는 긍정적이지만 우려 역시 만만치 않다.

신임위원장이 경제관료 출신으로 투자 효율성을 따지는 경향이 강하고, 시장원리와 비교경쟁을 강조하는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농특위원장 취임식 날 약식 기자간담회에서“정부의 정책 현안과 겹치지 않는 중장기적 정책 방향을 다루겠다”는 발언이 알려지면서 농업현안에 대한 정부 각 부처의 인식전환과 직접적인 대책을 원하는 농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5년 한시 조직인 농특위의 남은 활동기간은 이제 1년 5개월 남짓 남았다. 중장기적 정책방향은 이미 전대 농특위에서 충분히 다뤘다. 위기에 처한 농업·농촌을 살리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대통령 직속 협치 기구의 위상에 맞게 이를 관철해내는 역할을 농특위가 해주길 농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여성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